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LG CNS의 최신 소식을 지금 만나보세요.

보도자료

LG CNS 데이터센터, 국내 최고 에너지 효율 입증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그린데이터센터인증 최고등급 『에이 트리플플러스(A+++)』인증 획득

2014.12.15

지난해 개관한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한국 데이터센터의 에너지관리 수준을 끌어 올려 화제다.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이하 부산센터)는 15일(월) ‘그린데이터센터인증’ 최고등급인 『에이 트리플플러스(A+++)』 인증을 획득했다. 그린데이터센터 인증제도가 도입된 지 3년 만에 나온 최고 인증으로, 국내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이 글로벌 수준으로 높아졌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데 큰 의의가 있다.

‘그린데이터센터인증’은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가 2012년부터 매년 실시하는 데이터센터 인증 평가제도다. 전력효율지수(Power Usage Effectiveness, 이하 PUE)[1]와 에너지 절감활동에 따라 총 4단계(A, A+, A++, A+++)의 인증 등급이 있다.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탄소배출량을 절감하는 한편 데이터센터 산업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됐다. LG CNS는 인증제가 도입된 2012년부터 상암IT센터로 매년 인증을 획득하고 있으며, 이번 부산센터의 최고 등급 달성으로 LG CNS 데이터센터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LG CNS 부산센터는 국내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을 인정받아 『에이 트리플플러스』 인증을 획득했다. 부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보여주는 PUE는 연평균 1.39로, 냉방기를 가동하지 않는 동절기에는 글로벌 최고 수준인 1.15까지 도달한다.[2]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 평균 PUE는 1.8 수준으로, LG CNS 부산센터와 같은 수전전력 40,000KVA 급 초대형 데이터센터 PUE를 1.8에서 1.4로 낮출 경우, 일반 가정집 5,84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막대한 양의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3]

LG CNS 부산센터가 연평균 PUE 1.39로 국내 최고 그린데이터센터로 인정받은 데에는 LG CNS의 축적된 친환경 기술과 에너지 관리 역량이 뒷받침됐다. LG CNS 부산센터는 에너지절감을 위한 건물 설계로 특허 출원한 ‘빌트업 외기냉방 시스템’, 서버열 배출을 위한 데이터센터 굴뚝 ‘풍도’ 등 데이터센터 설계 단계부터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친환경 기술은 이미 2014년 5월 국내 최초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분야 최고 권위상인 ‘브릴 어워즈(Brill Awards)’ 수상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LG CNS 인프라서비스부문장 김종완 상무는 “LG CNS 부산센터의 그린데이터센터 최고등급 인증은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LG CNS의 축적된 기술과 끊임없는 노력에 빛나는 성과”라며 “현 수준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발굴, 대한민국 최고수준을 넘어 글로벌 최고 센터로 발돋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끝)

[참고1]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2013년 개관한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대한민국 글로벌 IT허브 도약을 위해 『중앙정부-지자체-민간기업』의 전략적 제휴로 탄생했다. LG CNS 부산센터는 축구장 5개 면적에 서버 7만 2천대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초대형 데이터센터다. 부산센터는 현존하는 그린IT기술을 총동원한 친환경 인프라에 지진, 수해까지 완벽하게 대비해 대한민국 대표 데이터센터로 자리매김했다. LG CNS는 세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빌트업 외기냉방 시스템’을 부산센터에 적용,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또한 LG CNS는 부산센터에 국내 최초로 면진 설비를 적용, 리히터 규모 8.0 지진에도 끄떡없는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력 계통 이중화 시설로 무중단 전원 공급, 스마트보안과 같은 철저한 안전시설로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데이터센터로 꼽힌다.

사진1
[사진설명1] 부산 강서구 미음지구에 위치한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경사진1
사진2
[사진설명2] LG CNS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통합관제센터 사진2

[1] PUE는 1년 동안 데이터센터 전체 전력 사용량을 서버와 같은 IT장비의 전력 사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을 나타낸다. PUE가 절대값 1에 가까울수록 냉방전력 등 非 IT 영역 전력 사용이 적어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 국내 데이터센터 평균 PUE가 민간 2.03, 공공 3.13 수준이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PUE는 1.12~1.50이다.(출처: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데이터센터 인증 안내 보고서』, 2014)

[3] 수전전력 40,000KVA(kilovolt-ampere, 킬로볼트암페어) 급 초대형 데이터센터 PUE를 1.8에서 1.4로 낮출 경우 시간당 약 ,200kwh(kwh kilowatt-hour, 킬로와트시)의 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28,032,000kwh을 절감하게 되며, 일반 아파트 한 가구당 연평균 4,800kwh의 전력 사용 기준으로 산정했을 때 일반 가정집 5,84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막대한 양의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