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미래 도시에 대한 8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AI가 신호등 조절 및 구급차 출동, ‘미래 도시’가 온다 4차 산업혁명이 도시의 풍경을 바꿔 놓고 있습니다. 도시에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이 시민들이 가장 살기 좋은 미래 도시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어떤 미래가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을까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분석 보고서를 토대로 ‘데이터 기반 스마트 도시’의 미래를 예견해보겠습니다. 중국 항저우, 최적의 교통 흐름을 구현하다 중국 항저우는 ‘시티 브레인’ 시스템을 구축해 도시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항저우의 모든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통제함으로써 도시 문제를 척척 해결하고 있습니다. 도시 전체에 설치된...
- 블로그 드론 택시, 현금 없는 세상이 온다. 4차 산업혁명은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바꿔 놓게 될까요? 중국의 개혁개방 1번지 선전이 전 세계 혁신 도시 가운데 가장 먼저 4차 산업혁명이 바꿔 놓을 실험 도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선전은 지난 40년 동안 주민 소득이 만 배 넘게 늘며 중국을 바꾸는 혁신 1번지로 성장했는데요. 이곳에는 전 세계 드론 시장 70%를 장악하는 DJI를 비롯해 화웨이, 텐센트 등 유니콘 기업 13곳이 중국의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이런 혁신을 이끄는 주인공들은 평균 나이...
- 블로그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통합, Digital Twin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아이언맨을 보신 분들이라면 다들 기억하실 장면이 있을 겁니다. 주인공 토니 스타크가 허공에 띄워진 아이언맨 슈트의 홀로그램 형상을 이리저리 살펴보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이 바로 디지털 트윈의 개념을 가상 쉽게 설명하고...
- 블로그 똑똑한 도시를 선도하는 IoT 결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스마트하게 달라지는 도시의 풍경 #1. 세중시는 버스 운행 중에도 실시간으로 노선이 바뀌는 가변형 노선 서비스를 시행한다. 시는 1년간 수집한 버스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서 운행 대수를 늘리거나, 정류장마다 정착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로 승객이 없는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는다. 시시각각 바뀌는 버스 운행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시민들은 최적의 노선으로 편리하게 이동한다. #2. 한양시는 경찰서 내 데이터를 분석해 CCTV 설치가 필요한 지역에 주차 공간을 만들었다. 고민남 씨는 자신의 차량 블랙박스 정보를...
- 블로그 똑똑한 도시로의 진화, 스마트시티의 미래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시티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은 진화 중 인공지능은 1956년 존 매카시가 개념을 정립한 이후 1970년대에 전문가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관심이 커졌으며 이후 인공신경망 기법들이 고도화되면서 발전을 해 왔으나, 성능의 한계로 인해...
- 블로그 내 삶을 바꾸는 리빙랩 최근 스마트시티라고 하면 ‘리빙랩(living lab)’ 이라는 단어가 동시에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리빙랩’이란 무엇일까요? 사전적인 의미로는 ‘일상생활의 실험실’이란 뜻인데요.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혁신을 하는 플랫폼을 말하며,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민의 협력체계 또는 과학과 사회현장의 통합모델을 시도하는 과학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등을 의미하는 새로운 용어입니다. 최초에 리빙랩 개념은 2004년 미국 MIT의 윌리엄 미첼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한 개념이라고 합니다. 미첼 교수는 대부분 과학 기술은 몇몇 뛰어난 과학자들의 능력에 의해 이뤄진 공급자 중심의 결과물이라서 갈등이나 안전, 환경과...
- 블로그 유럽의 스마트시티, 스마트 시민 정신 초기의 스마트시트는 현대화된 도시, 지속할 수 있는 도시 등 목적물로 바라보는 견해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수단과 과정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4차 산업혁명을 담는 플랫폼으로 보는 개념으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시티는 공급자 중심의 닫힌 생태계가 아니라, 수요자 중심, 시민참여 중심의 열린 생태계의 플랫폼이며 교통, 에너지 등 각 도시의 각 분야가 수직적으로 각각 구축된 것이 아니라, 여러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수평적 통합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최근 ‘스마트 시민’이란 용어가 스마트시티 사업의 이슈 중...
- 블로그 스마트시티는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2018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의 라스베이거스에서 CES(Consumer Electronic Show) 2018이 열렸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고 있을 뿐 아니라,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과 기술 개발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요. 게다가 얼마 전인 1월 29일에 우리나라 대규모 스마트시티 시범지구가 두 군데 선정되면서 각 지자체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열기와 관심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필자가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 도착하자마자 가장 먼저 방문한 곳은 ‘스마트시티’ 전시회가 열리는 ‘Westgate’ 였습니다. 시스코(Cisco), 딜로이트(Deloi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