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IOT에 대한 195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2편, LDW 지난 시간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로지컬 데이터 웨어하우스(Logical Data Warehouse)의 정의와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로지컬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적용 사례와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http://blog.lgcns.com/1775 LDW(Logical Data Warehouse)의 적용 사례 LDW라는 개념은 2~3년 전에 제시되었고, 다양한 활용 사례들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저렴한 저장 공간을 활용한 사례와 분산 병렬 처리를 이용한 배치 속도 개선 사례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데이터...
- 블로그 ‘오롯’이 제공하는, 로봇 서비스 최근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로봇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의 형상을 닮은 로봇일수록 사람처럼 똑똑할 것이라고 오해를 합니다. 이러한 오해로 로봇 서비스 도입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데요. 로봇이 똑소리 나게 서비스를 하려면 로봇 도입부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서비스까지 세심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지난 8월 8일~10일 개최된 ‘소프트웨이브 2018’에서 로봇 서비스 ‘오롯(Orott)’ 전시를 성황리에 마쳤는데요. 국내 최대 소프트웨어 전문 전시회인 만큼 많은 분들이 방문해주시고 관심 가져주셨습니다. 오늘은 로봇 서비스에 대해 가장...
- 블로그 전기차와 사물인터넷, 개인화가 만난 휴게소의 미래 긴 여정에 있어서 휴게소는 피로를 풀 수 있는 공간이자 소소한 재미이기도 합니다. 잠을 쫓을 수 있는 커피 한 잔이나 허기를 채울 수 있는 휴게소의 식사는 도로 위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경험이기에 놓치지 않으려는 여행객도 많죠. 전기차 시대에 휴게소는 지금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주유와는 달리 충전기를 이용한 충전은 짧게는 10분 이내, 길게는 3시간 이상 충전해야 하기 때문이죠. 전기차 보급에 따라 휴게소에 전기차 충전기 도입은 가속할 것입니다. 현재 휴게소에서도...
- 블로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1편, LDW IDC는 2020년, 전 세계 데이터가 44 제타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모바일, 소셜 미디어, IoT 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는 폭증하고 있는데요. 발생 데이터 80% 이상이 비정형 데이터로 그 종류도 다양합니다. 바야흐로 데이터의 빅뱅, 빅데이터 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정보 분석 환경은 정형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오픈소스의 발달로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진 하둡(Hadoop)의 등장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 블로그 똑똑한 도시를 선도하는 IoT 결합형 ‘스마트시티 플랫폼’ 스마트하게 달라지는 도시의 풍경 #1. 세중시는 버스 운행 중에도 실시간으로 노선이 바뀌는 가변형 노선 서비스를 시행한다. 시는 1년간 수집한 버스 운영 데이터를 분석해서 운행 대수를 늘리거나, 정류장마다 정착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로 승객이 없는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는다. 시시각각 바뀌는 버스 운행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시민들은 최적의 노선으로 편리하게 이동한다. #2. 한양시는 경찰서 내 데이터를 분석해 CCTV 설치가 필요한 지역에 주차 공간을 만들었다. 고민남 씨는 자신의 차량 블랙박스 정보를...
- 블로그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제어하는 인공지능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국 정부는 도시의 첨단화와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려는 시도로써 스마트시티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서는 에너지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 세계 에너지 사용량의 약 40%가량이 건물에서...
- 블로그 모든 사물과 사람을 잇는 IoT 플랫폼, INFioT 최근 많은 IT 업체나 기기 제조사, 디바이스 제조사 등이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발표하며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플랫폼은 기존의 PC나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OS와 앱, 그리고 대응 하드웨어 등을 총칭해서 말하는데요. IoT에서 플랫폼은 어떤 것일까요? IoT는 4차 산업혁명에서 지금까지 데이터화할 수 없었던 영역을 데이터화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그 진가가 빛납니다.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물리적 형태와 데이터를 가상 세계에 동일하게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필수 요소로 LG CNS의 IoT 플랫폼,...
- 블로그 싱가포르가 전 국토를 가상현실로 만드는 이유는?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 중 건물 영역의 에너지 소비 비중은 약 30%로, 스마트시티에서 에너지 절감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세계 각국의 다양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도시별 주요 현안 해결과 시민의...
- 블로그 ICS 보안에 대한 이해와 약점, 대응 방안 산업 제어 시스템은 흔히 ‘ICS (Industrial Control System, 산업 제어 시스템)’라고 부릅니다.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취득(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을 뜻하는 SCADA와 붙여 ‘ICS/SCADA’로 통칭하기도 하며, 정보통신기반 보호법은 이를 국가안전보장•행정•국방•치안•금융•통신•운송•에너지 등의 업무와 관련된 전자적 제어•관리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ICS/SCAD 보안 위협 및 사례 국내에서도 이미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 해킹으로 ICS 보안 위협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있습니다. 망 분리 및 최신 보안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진 한수원의 원자력 관련 내부망이 해킹되어 당시...
- 블로그 반복 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RPA 1편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사용자 PC 상에서 이뤄지는 단순 반복 업무를 미리 정해진 Workflow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하게 해 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이메일 첨부파일 열기, 온라인 양식 작성, 데이터 기록•재입력 등 사람의 행동을 흉내 내어 다른 업무들을 수행하는 즉, 단순 반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RPA 등장 배경 및 전망 RPA 개념을 가장 먼저 도입한 건 인건비 중심의 On/Offshore BPO 시장입니다. 초기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시장은 On site 내 Back office 인력 대비 Offshore...
- 블로그 똑똑한 도시로의 진화, 스마트시티의 미래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시티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은 진화 중 인공지능은 1956년 존 매카시가 개념을 정립한 이후 1970년대에 전문가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관심이 커졌으며 이후 인공신경망 기법들이 고도화되면서 발전을 해 왔으나, 성능의 한계로 인해...
- 블로그 전기를 아끼면 돈을 벌 수 있을까?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정부만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향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재 시리즈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들과 기술, 적용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를 아끼면 그만큼의 전력 요금을 절약할 수 있음은 상식적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요금을 절약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아낀 전기를 모으고 되팔아 추가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요자원 거래 또는 수요 반응(Demand Response)이라는 제도인데요. 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