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은 “휴가”는 돈으로 맞바꿀 수 없는 귀중한 시간이라 생각하며, “짧은 휴가 기간”이 가장 아쉽다고 느끼는 것으로 한 대기업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다.
LG CNS가 본격적 휴가철이 시작되는 7월을 맞이해 “휴가를 즐기자”라는 주제로 실시한 임직원 대상 설문조사에서, “여름 휴가를 돈으로 바꾼다면 하루 당 고려할 만한 액수는?”이라는 질문에 응답자 1,532명의 38%(578명)가 “바꿀 수 없다”라고 응답, 하루하루 업무에 매인 직장인의 일상에서 여름 휴가가 차지하는 의미를 반영했다.
하루 일당 50만원 이상 이라면 휴가 반납을 고려해보겠다는 응답이 20% (299명)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휴가를 통해 재충전 하는데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이라는 질문에는 39% (601명)가 “짧은 휴가 기간”이라 응답해 평균 일주일의 휴가 기간을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편이고, “가벼운 주머니 사정”이라고 응답한 사람도 28% (428명)나 되어 경기 침체에 따른 비용에 대한 부담감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를 떠날 수 있는 계절을 정할 수 있다면, 언제가 가장 좋은가?”라는 질문에는 33%(498명)가 “가을”, 28%(422명)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라고 응답한 반면 “그래도 여름”이라고 대답한 사람은 24%(368명)에 불과해 여행 다니기에 쾌적한 날씨를 선호하는 경향과 함께 사실상 계절은 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 휴가는“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더운 여름에 휴식을 취하는 것”이라는 의미보다는 “매일 같은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유 시간”의 의미가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
기타 올 여름 휴가 계획을 묻는 주관식 질문에, 올 봄을 강타했던 사스(SARS)의 여파를 반영한“사스 위험지역이었기 때문에 미뤄두었던 동남아 신혼여행을 갈 계획”,”사스 덕에 싸게 갈 수 있게 된 홍콩 여행을 즐겨 볼 계획”등의 응답과 최근 어린이 대상 경제교육이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아이들과 은행에 가서 현장 경제교육을 시키겠다”는 응답, 기타 ”구체적 계획은 안 세웠지만 어디든 휴대폰 불통인 곳으로 가서 자유를 만끽할예정이다”,“직장인으로서 맞는 첫 휴가를 기념해 일주일간 보육원에서 숙식하며 봉사할 계획이다”등의 답변이 이색적이었다.
LG CNS에서는 지난 6월 19일부터 나흘 간 이메일을 이용해 “휴가를 즐기자”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총 1,532명의 임직원이 응했다. 응답자는 연령별로 20대(32%, 496명), 30대(60%, 927명), 40대 이상(8%, 109명)이었다.
**** 설문조사 개요 ****
– 조사 대상 : LG CNS 임직원
– 조사 응답자 : 1,532 명
– 조사 기간 : 6/19-22
– 조사 방법 : 이메일을 통한 설문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