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하드웨어에 대한 25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결제를 위한 웨어러블 기술, 어디까지 왔나? 현대 사회의 다양한 결제 방식 중 스마트폰을 통한 비접촉식 결제는 가장 대표적입니다. 디지털 결제 기술이 발달한 것도 있지만, 스마트폰이 보편적인 모바일 기기가 되면서 지갑을 대체할 수단으로 결제 기술 발달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이죠. 그러나 완벽한 수단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스마트폰은 결제 수단으로 단점이 꽤 많습니다. 배터리를 소모하고, 결제를 수행할 시간이 필요하며, 현금이나 카드에 비해 가볍지도 않습니다. 항상 휴대하는 기기가 되었기에 지갑의 역할을 이행하면서 속성을 디지털로 전환한 것이지 결제 경험을 획기적으로 바꿔 놓은...
- 블로그 애플은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 2018년 8월 3일 애플의 기업 가치는 미국 소재 상장회사로는 최초로 $1조를 돌파했습니다. 아이폰이 처음 출시된 2007년 약 $245억이던 애플의 연 매출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상승해 2017년에는 $2290억을 달성했고 주당 약 $20였던 주가는 $207을 돌파했습니다. 2008년 스마트폰 시대를 개척하며 성장한 애플은 iOS를 중심으로 하드웨어에서부터 서비스에 이르는 생태계 전반을 자신들이 주도하는 폐쇄적 생태계의 완결성을 강조하며 성장해왔는데요. 하지만 최근 스마트폰 성장세가 둔화한 시점에서, 애플은 모바일 시대 이후 새로운 혁신 동력을 찾기 위한 준비를...
- 블로그 신사업 정책 #2 지난 36편에서는 기업들이 ‘성장’을 위해 신(新)사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기존의 일하던 방식으로 정책을 추진한다든지 아니면 기업의 문화나 특성에 맞지 않는 정책을 구사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해 몇 가지 주의할 점을 알아봤습니다. ● 누구나 전략 기획 고수가 될 수 있다 – 신사업 정책 #1 요약해 보면, 첫 번째로 아이디어 기반으로 시장과 고객의 반응에 따라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를 스타트업과 전혀 다른 기업 문화와 조직구조를 가진 기존 전통 기업의 제도하에서 직접...
- 블로그 인공지능 시대, 인공지능 하드웨어의 현재 상황은? 인공지능(AI)은 어느덧 일반적인 기술이 되어 이미지 인식과 음성인식 이외에도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 중입니다. 인공지능 확산에 크게 기여한 요인으로는 딥러닝 알고리즘의 진화와 더불어 GPU의 활용을 들 수 있는데요. GPU는 슈퍼컴퓨터 대신에 수천 개의 코어를 한 장의 GPU 카드만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많게는 매번 수억 번의 연산을 해야 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GPU는 전력 소모가 크고 발열이 심해 디바이스에 탑재하기 어려우며 또한 CPU처럼 분산 환경을 구성하여 클라우드를 구현하기도...
- 블로그 인공지능 구현의 새로운 시도, 인공신경망의 진화 최근 5년간 인공지능은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구현되고 있는 인공지능 방식으로 인간의 지능을 완벽하게 구현하는데 큰 한계를 갖는데요. 인공지능 구현에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연산 과정이 요구되며, 인식•학습 분야에서는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갖추었지만 추론•행동과 같은 분야에서는 매우 초기적 단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자율적인 상황 판단과 능동적인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의 지능 수준과 큰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현재 구현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오래전부터 제안되어 온 수학•과학 분야의 이론과 모델링에 기반한 ‘인간처럼 계산(Computing...
- 블로그 2018, IT와 금융의 융합 #10 금융 산업, 가상현실(VR)에 빠지다. 금융 산업과 가상현실(VR)의 만남? 예상치 못한 조합일 것 같습니다. 가상현실은 다양한 영역에서의 활용이 예상되며,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핵심 기술로 부상했습니다. 3차원 가상공간 내에서 실시간 상호작용과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 제공을 특징으로 하는 VR 기술은 현재 시장형성 초기 단계지만, 대형 IT 업체들의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향후 플랫폼으로서 역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가상현실 고글을 쓰면 다른 세상에 빠진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침대에 누워서 히말라야 등반을 할 수도 있고, 자동차 매장에서 최신 승용차를 확인할 수도,...
- 블로그 ‘메이커’ 디자이너가 IT를 만나다 만들기는 참 재미있는 일입니다. 직업이 디자이너이다 보니, 많은 것들을 만들고 고치기를 반복하게 됩니다. 그러나, 여전히 무엇을 만드는 과정은 어렵습니다. 만들기를 하다 보면 쉽게 만들어지는 경우도 가끔 있지만, 다양한 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만들다 보면 이런 걸 왜 만들고 싶어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을 때도 생깁니다. 재미 삼아 이것 저것 만들다 보면, 만들기 자체가 취미이자 선행연구의 역할도 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지금까지 만들었던 많은 것들과 인공지능이 접목되면서 음성인식 UI와 로봇과 같이 더...
- 블로그 예술과 IT – 인터랙티브 아트 : 카메라를 활용한 작업들 안녕하세요. 미디어 아티스트 송준봉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인터랙티브 아트’의 다양한 작업들을 소개하고, 관객의 입력을 받기 위한 센서와 그 구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특히 지난 시간은 ‘아두이노(arduino)’를 중심으로 설명을 드리다 보니 좀 어렵게 느껴지셨을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인터랙티브 아트의 연장선에서 ‘카메라(camera)’를 활용한 작업들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카메라를 센서(sensor)로 활용한 인터랙티브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너무 공대스럽지 않도록 기술에 대한 소개는 최대한 줄이고, 작업 소개 위주로 진행해 보려고...
- 블로그 프로젝트에서 소스 코드 보안 점검하기 최근 인공지능, 빅데이터, VR에 대한 소식이 많이 들리고 있는데요. 이런 것들이 점차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이러한 현상과 함께 이곳 저곳에서 해킹을 당했다는 소식도 많이 들려와 보안을 업으로 하는 입장에서 안타까움이 큽니다. 2010년도 들어오면서 정부에서 안전한 개발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어 보다 안전한 소프트웨어가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큐어 코딩이(Secure Coding)라는 용어가 확대되고 있는데요. 이를 계기로 보안에 대해서...
- 블로그 예술과 IT – 인터랙티브 아트의 기술과 구현 안녕하세요. 미디어 아티스트 송준봉입니다. 어느덧 ‘예술과 IT’도 벌써 네 번째 글이 되었네요. 지난 시간에는 관객의 반응에 따라 다양한 작업의 변화가 나타나는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 의 다양한 작업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인터랙티브 아트’에 숨겨진 기술과 그 구현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마도 오늘 글은 전편보다 조금은 기술에 치우친 친(親) 공대스러운 글이 될 가능성이 높아서 조금 어렵게 느껴지진 않을까 우려가 되긴 하지만, 뭐든 처음만 힘든 거 아니겠습니까? 일단 한...
- 블로그 스마트폰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모바일이란 ‘움직이기 쉬운’이라는 뜻의 라틴어 mobilis에서 유래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동하기 쉬운’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이동성을 가진 휴대용 통신을 통칭하여 모바일(mobile)이라고 부르고 있죠. 모바일의 대표는 ‘손 안의 PC’로 불리는 스마트폰으로 대중화를 넘어 이제 생활의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성인 인구 4천1백만여 명 중 83%인 3천4백만여 명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보급률은 아랍에미리트(90.8%), 싱가포르(87.7%), 사우디아라비아(86.1%)에 이어 세계 4위(KT경제경영연구소 ‘2015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 보고서)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 블로그 핀테크의 등장과 공유경제 플랫폼의 성장 지난해 국내 금융권에서 가장 빈번히 회자된 용어 중 하나로 핀테크(FinTech)를 꼽는다면, 올해는 블록체인(BlockChain)을 주저하지 않고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처럼 화두가 되고 있는 핀테크의 등장 배경과 가치는 무엇일까요? 핀테크의 등장 배경과 핵심가치 핀테크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결합이라는 용어로 통칭됩니다. 핀테크 기업의 경우 IT시스템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금융기업을 통해 간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교적 중소규모의 기업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다양한 기술 중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로 집중되고, 대기업보다는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