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AI기술에 대한 8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디지털 광고 산업, 생성형 AI 검색으로 어떻게 달라질까? “웹은 단순히 기계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연결한다. (The Web does not just connect machines, it connects people.)“ -팀 버너스리-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한 공용 웹 페이지의 상호연결 시스템) 을 창시한 ‘팀 버너스리’는 미래의 웹을 ‘인공지능(AI) 에이전트(인간의 개입 없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 지능형 시스템)’로 내다봤습니다. 웹은 수많은 웹 페이지로 구성되며, 각 웹 페이지는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 이미지, 비디오 등 리소스의 위치를...
- 블로그 AI 규제의 새 시대, EU AI법이 글로벌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사례 1. 중국 신용 점수 시스템 중국 산둥성에 있는 룽청시(荣成市) 정부는 2013년 주민들에게 기본 신용 점수 1,000점을 부여했습니다. 좋은 행동이나 나쁜 행동에 따라 점수를 가감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것인데요. 예를 들어, 위챗, 포럼, 블로그에 유해한 정보를 유포하면 50점이 감점되고, 전국 수준의 스포츠나 문화 대회에서 우승하면 40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점수 시스템은 논란을 야기했습니다. 한 주민이 온라인에 의료 사고를 토로한 지 3주 만에 신용 점수 950점을 잃은...
- 블로그 동영상 AI ‘소라(SORA)’가 영상을 제작하는 방법 동영상 AI ‘소라(SORA)’의 등장! [그림 1]은 동영상 AI ‘소라(Sora, 이하 소라)’로 만든 영상의 일부입니다. 소라는 오픈AI가 2024년 2월 공개한 동영상 제작 AI로, 공개와 동시에 주변을 놀라게 했습니다. 그동안 런웨이, 피카랩과 같은 동영상 AI 스타트업의 제품이 있었지만 소라는 달랐습니다. 소라가 만들어 내는 동영상이 너무 현실적이었기 때문인데요. 기존 동영상 AI는 처음 3초 분량의 영상을 만든 뒤, 이어 4초씩 추가 생성하는 방식으로 영상을제작했으며, 최장 길이는 대략 15초였습니다. 이에 반해 오픈AI의 소라는 최장 1분...
- 블로그 인간이 사용하기 편해야 좋은 AI ··· 생성형을 뛰어넘는 ‘인간중심 AI’ 2023년은 생성형 AI, 2024년 AI 트렌드는? 지난 2023년은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오픈AI(Open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ChatGPT)’, 이미지 AI의 성능을 발전시킨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등 주요 AI 모델이 등장하며 많은 기업이 생성형 AI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시도를 했습니다. 하지만, 생성형AI가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된 사례는 아직 많지 않은데요. 존 로세(John Roese) 델 테크놀로지스 글로벌 CTO 는 2023년 델 테크놀로지 월드 2023(DELL Technologies World 2023)에서 “2023년에는 생성형AI가 기업...
- 블로그 AI시대, 빠른 변화에 적응하려면? ‘SINGLEX ALM(앱 라이프사이클 관리)’ AI기술 발전과 MZ의 등장, 일하는 환경을 바꾸다! 애플이 ‘공간 컴퓨팅(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과 터치스크린 등이 있는 공간이 옮겨지며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체계)’ 기술을 전면에 내세운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및 혼합 현실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 헤드셋 ‘비전 프로’를 출시했습니다. 비전 프로를 통해 ‘시ᆞ공간의 한계를 초월한 경험’에 대한 갈망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최근 이런 갈망이 ‘일’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AI기술이 발전하며 비전 프로와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협업...
- 블로그 디바이스에 들어온 AI, 빅테크 기업이 온디바이스 AI를 활용하는 방법 “웹은 사회적인 창조물에 가깝다. 웹의 힘은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그 보편성에 있다.”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한 공용 웹 페이지의 상호연결 시스템)을 창시한 ‘웹의 아버지’ 팀 버너스리(Sir Timothy John Berners-Lee)는 웹 3.0을 플랫폼이 아닌 ‘개인이 소유한 인터넷’으로 규정한 바 있습니다. 웹3 시대에는 피트니스 정보에서 쇼핑 패턴까지 모든 데이터를 ‘나만의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나만의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나만의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본 것인데요. AI와 함께 대규모...
- 블로그 핀테크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 세계의 기술 쟁탈전 (下) 인공지능과 함께 핀테크의 혁신을 가늠할 수 있는 기술은 단연코 블록체인입니다.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을 사용해 데이터를 여러 저장소에 기록하고 다수의 네트워크 참여자가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위변조를 방지해 거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차세대 기술입니다. 분산원장 기술은 한 번에 여러 곳에 금융 거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계 금융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크로스체인 기술은 점차 블록체인 상호운용성을 촉진하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에 구축된 체인은 결제를 처리하는 공급망 관리 등...
- 블로그 핀테크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 세계의 기술 쟁탈전 (上) 금융과 IT 기술의 결합으로 탄생한 핀테크는 이제 글로벌 금융 시장의 체질을 바꾸는 혁신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은행 창구에서 번호표를 뽑고, 통장에서 돈을 인출하거나 저금통에 돈을 모으는 오프라인 금융이 대세였는데요. 하지만 이 같은 전통 금융은 사라지고, 이제 모든 금융 서비스가 디지털 기반 핀테크 채널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소위 핀테크 기반 유니콘 기업이 대거 등장하고 있는 것인데요. 핀테크 기업에 돈이 몰리면서 이 시장을 과점하기 위한 세계 디지털 전쟁도 격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