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AWSambassador에 대한 48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다수 서비스의 AWS 이전에 따른 Route53/DNS 쿼리 형태 INTRO 이전 게시물에서 온프레미스(On-Premise, 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인프라를 소유, 관리 및 운영하는 것) 도메인의 AWS 이전 형태에 따른 Route53(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웹 서비스)/DNS(Domain Name System,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 설정 및 고려 사항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 온프레미스 도메인의 AWS 이전 형태에 따른 Route53/DNS 설정 및 고려 사항 확인하기 Public Cloud로 시스템을 이전할 때, 기존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
- 블로그 EKS 성능테스트 따라 해보기 INTRO 시스템의 서비스 종류와 사용 방법에 따라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합니다. 성능테스트는 시스템이 설정된 조건에서 얼마나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이를 통해 시스템의 병목지점을 식별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성능테스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사용자를 정의하고, 각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상세히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이 특정 시점에 목표하는 부하(Traffic)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시간대에 사용자가 급증하는 경우, 시스템이 이를 견딜 수 있는지, 장기간...
- 블로그 RDS PostgreSQL Blue/Green Deployment Testing INTRO PostgreSQL Blue/Green 배포란? PostgreSQL(오픈소스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서버를 운영할 때, 버전 업그레이드나 파라미터 수정 등으로 인해 재시작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때, PostgreSQL의 Blue/Green 배포란 운영 중인 Production Cluster(Blue)와 전환을 위한 Staging Cluster(Green)를 준비한 뒤, Switchover(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수동 교환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 명령으로 Blue와 Green을 전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운영 환경의 변경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AWS는 Green Cluster의 구성부터...
- 블로그 해킹과 과다 요금 발생을 방지하는 AWS 계정 보안 강화 노하우 Intro 최근 AWS Account 탈취로 인한 AWS 결제 비용 과다 청구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Account나 개인의 Account 로그인 정보를 획득해 자주 사용하지 않는 Region(AWS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인 국가/도시 단위의 위치, 이하 리전)의 Computing Resource를 사용하는 채굴 또는 목적 없는 리소스 과다 사용을 통한 Account Owner에 금전적 피해를 입히려는 악의적인 활동 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 Account 보안을 강화해 해킹을 방지하는 방법과 실수로 Account 정보가 노출되었을...
- 블로그 Amazon ElastiCache Serverless 내 시스템에 어울릴까? Amazon ElastiCache Serverless란? Amazon ElastiCache 서비스의 새로운 Serverless 옵션은 2023년 11월 27일에 정식 출시됐습니다. ElastiCache Serverless는 1분 이내에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캐시를 생성할 수 있고, 여러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 각 리전 내에 격리된 위치로 개별 데이터센터로 구성, 이하 AZ) 전체에서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며 99.99%의 가용성 서비스 수준 계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 여러 고객에게 제공되는 동일한 서비스를 자세히 설명하는 계약)을 제공합니다. ElastiCache Serverless는 Redis(Remote DIctionary Server, 빠른 오픈 소스인 메모리...
- 블로그 AWS Lambda를 활용한 짧은 주기 배치 구현 Intro Batch(이하 배치)는 처리해야 할 작업을 모아 일괄 처리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배치는 특정 시간마다 실행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고 설정한 시간에 한꺼번에 작업을 처리하게 되는데요. 실시간 처리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빠른 응답이 필요 없는 서비스에 활용하기 적합합니다. 하나의 프로젝트 안에는 크고 작은 다양한 시스템들이 있어, 각 시스템의 특징에 맞게 배치를 구성해 운영해야 합니다. 하지만, 시스템이 만들어진 시기나 프로그래밍 언어, 시스템 환경에 따라 배치의 구성이 많이 달라지는데요. 이때, 배치의 특성상 Background에서 실행되는...
- 블로그 Amazon Bedrock Knowledge base로 구현하는 RAG(검색 증강 생성) Intro LLM(Large Language Models)에 최신 혹은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질문하면, 제대로 된 답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LLM이 사전에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인데요. 모델이 학습한 시점 이후의 최신 정보나, 학습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세부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정확한 답변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RAG(Retriever-Augmented Generation, 검색 증강 생성, 이하 RAG)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모델 중 하나인데요. RAG는 기존의 언어 모델에 정보 검색(retrieval) 기능을 추가해, 모델이 학습한...
- 블로그 ‘Amazon Bedrock’ 사용해 간단한 챗봇 만들기 Intro Amazon Bedrock은 AI21 Labs, Anthropic, Cohere, Meta, Stability AI 및 Amazon과 같은 AI 회사의 다양한 고성능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 FM, 대규모 딥 러닝 신경망)을 단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를 통해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이번 글에선 Amazon Bedrock을 사용해 간단한 챗봇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복잡한 코딩 없이 쉽고 빠르게 챗봇을 만들기 위해 Amazon Bedrock과 Streamlit, LangChain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Streamlit은 Python을 활용해 앱을 빠르고 쉽게...
- 블로그 ‘Fuzzy String Matching’ 노하우를 공개합니다. Intro 기업 내 다양한 시스템 안에서 고객사, 파트너사, 벤더사 등의 회사명을 표기할 때, 동일한 회사명이 조금씩 다르게 표기된 것을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LG CNS’라는 기업명이 (주)LG CNS, lg cns, LG CMS 등으로 다르게 표기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다르게 표기되는 이유는 보시는 바와 같이 대문자/소문자, 오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Fuzzy String Matching’은 이처럼 다르게 표기된 글자들이 서로 동일한 것인지, 단지 비슷한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입니다. 검색 엔진...
- 블로그 AWS Lambda와 Spring Boot 사용을 위한 최적화 방안 1. Intro AWS Lambda에 Spring Boot Application을 실행하는 것은 Cold Start 문제로 인해 많은 최적화가 필요했습니다.불필요한 종속성을 줄이고, 무거운 라이브러리는 교체하는 튜닝 작업들을 진행 했었습니다.Spring과 같은 무거운 Framework를 버리고, 다른 Framework를 사용하거나 Native 코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만을 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했습니다.Framework를 제거하면 초기화 시간이 단축되지만 구현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여 개발 생산성은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Cold Start 문제를 해결하고 Lambda와 Spring Boot Application을 사용하기 위한 최적화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Spring Handler 전역 변수...
- 블로그 AWS Lambda SnapStart 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1. Intro AWS re:invent 2022에서 AWS Lambda의 새로운 feature인 SnapStart를 발표했습니다.SnapStart는 Java 언어와 함께 Lambda를 사용할 때 Cold Start 시간을 대폭 개선하기 위한 기능입니다.Lambda의 일반적인 작동 방식과 Cold Start에 대해서 이해하고, SnapStart의 작동 방식과 SnapStart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AWS Lambda 란? AWS Lambda는 serverless 서비스로서,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이 Application Code를 실행할 수 있는 Compute 서비스입니다.Lambda는 고가용성 컴퓨팅 인프라에서 코드를 실행하고 서버 및 운영 체제 유지 관리,...
- 블로그 사용자 별 Athena 쿼리 제약을 통한 비용 제어 방안 1.개요 일반적으로 Amazon S3에 저장된 데이터의 탐색을 위해서 Amazon Athena를 사용합니다.Amazon Athena를 통해 데이터 탐색을 할 때 잘못된 Scan 범위(Query)로 인하여 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Amazon Athena 사용 시 Query 실수로 인한 대용량 Scan을 방지하기 위해 Workgroup의 기능인 Data Uasge control을 통한 Query 제한과 Amazon Athena를 사용하는 Workgroup의 Data scan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Data uasge alerts 구성을 통한 사용량 알림 기능 구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내용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