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it에 대한 1395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스마트시티, 차세대 드론 서비스를 제시하다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무인 항공기를 날려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파란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무인 항공기를 내가 원하는 데로 조정해보는 것은 생각만 해도 즐거운 일입니다. 기술의 발전은 과거 취미 생활로만 즐기던 무인 항공기를...
- 블로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2편, LDW 지난 시간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로지컬 데이터 웨어하우스(Logical Data Warehouse)의 정의와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로지컬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적용 사례와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http://blog.lgcns.com/1775 LDW(Logical Data Warehouse)의 적용 사례 LDW라는 개념은 2~3년 전에 제시되었고, 다양한 활용 사례들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저렴한 저장 공간을 활용한 사례와 분산 병렬 처리를 이용한 배치 속도 개선 사례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데이터...
- 블로그 ‘오롯’이 제공하는, 로봇 서비스 최근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로봇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의 형상을 닮은 로봇일수록 사람처럼 똑똑할 것이라고 오해를 합니다. 이러한 오해로 로봇 서비스 도입에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데요. 로봇이 똑소리 나게 서비스를 하려면 로봇 도입부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서비스까지 세심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지난 8월 8일~10일 개최된 ‘소프트웨이브 2018’에서 로봇 서비스 ‘오롯(Orott)’ 전시를 성황리에 마쳤는데요. 국내 최대 소프트웨어 전문 전시회인 만큼 많은 분들이 방문해주시고 관심 가져주셨습니다. 오늘은 로봇 서비스에 대해 가장...
- 블로그 뇌 과학 기반, 인공지능 연구의 현재와 미래 딥마인드의 창업자 하사비스는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뉴로사이언스와 컴퓨터 과학 분야의 융합을 통해 인공지능이 한 단계 더 진보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두 분야에서 인간의 뇌, 지능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해 왔지만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하고 서로의 기술을 융합시키려는 노력이 부족해 왔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인데요. 하지만 최근 딥러닝을 시작으로 인공신경망 분야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컴퓨터 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신경과학, 뇌 과학(Brain Science) 분야 연구에 대한 관심이 급속하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 블로그 2018, IT와 금융의 융합 #13 비콘, 스마트 결제 시장 핵심으로 부상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점포를 보유한 인천 부평지하상가. 이곳은 1400여 개 점포가 들어서 있는 쇼핑 메카입니다. 이곳에 한 번 들어가면 나오기도 쉽지 않습니다. 출구만 30개가 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곳에서 원하는 상점을 바로 찾기란 어렵습니다. 지하에서는 GPS가 잡히지 않고, 무선랜으로도 정확한 위치를 알기도 어렵죠. 이럴 때 필요한 IT 기술은 무엇일까요? 바로 근거리 무선통신 비콘(Beacon) 기술입니다. 비콘은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뜻합니다. 비콘은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 블로그 생활 속의 암호학 네트워크의 발달로 다양하고 엄청난 양의 정보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이 정보 중에는 다양하게 공유되어야 할 정보들도 넘쳐나겠지만, 유출되면 개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협 할 수 있는 다양한 개인정보, 기업의 흥망을 결정지을 수도 있는 영업비밀, 기술정보, 국가 안보에 치명적인 정보 등 보호 대상이 되는 정보들도 많습니다. 네트워크(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무선 네트워크)가 발달하는 만큼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사이버 위협도 증가해 뉴스를 통해 다양한 해킹 사고, 유출 사고에 대해서 매일 접하게 되고, 이런 위협들은 현대를...
- 블로그 AR, VR이 영상의 미래를 바꾼다 4차 산업혁명은 영상의 미래를 바꾸었습니다. 달라질 영상의 핵심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에 있는데요. 시장조사업체 디지캐피털은 오는 2022년 전 세계 AR, VR 시장이 1천 50억 달러(약 119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중 AR 관련 시장 규모는 900억 달러(101조 원) 규모로, 150억 달러(17조 원)의 VR보다 6배가량 크게 성장할 전망이라고 하는데요. AR 시장의 폭발적 성장에 주목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VR이 100% 컴퓨터가 만들어 낸 가상현실 세계를 구현하는 기술이라면, AR은 실제 현실에 그래픽을 덧씌워 새로운...
- 블로그 전기차와 사물인터넷, 개인화가 만난 휴게소의 미래 긴 여정에 있어서 휴게소는 피로를 풀 수 있는 공간이자 소소한 재미이기도 합니다. 잠을 쫓을 수 있는 커피 한 잔이나 허기를 채울 수 있는 휴게소의 식사는 도로 위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경험이기에 놓치지 않으려는 여행객도 많죠. 전기차 시대에 휴게소는 지금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주유와는 달리 충전기를 이용한 충전은 짧게는 10분 이내, 길게는 3시간 이상 충전해야 하기 때문이죠. 전기차 보급에 따라 휴게소에 전기차 충전기 도입은 가속할 것입니다. 현재 휴게소에서도...
- 블로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분석 아키텍처 1편, LDW IDC는 2020년, 전 세계 데이터가 44 제타바이트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모바일, 소셜 미디어, IoT 등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는 폭증하고 있는데요. 발생 데이터 80% 이상이 비정형 데이터로 그 종류도 다양합니다. 바야흐로 데이터의 빅뱅, 빅데이터 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정보 분석 환경은 정형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오픈소스의 발달로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진 하둡(Hadoop)의 등장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 블로그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자동화해주는 도구, SSDP SSDP(Self Service Data Preparation)는 BI/DW에서의 데이터 전처리 도구(Data Preparation Tools)의 차세대 버전으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자동화 및 지능화해 주는 도구입니다. 비즈니스 사용자의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는 기술인 ‘셀프서비스 BI’가 데이터 준비 절차인 ‘셀프서비스 데이터 프레퍼레이션’으로 확장된 것입니다. 가트너는 ‘SSDP는 현업 사용자가 분석을 수행할 때 다양한 원천 데이터 소스와 각종 분석 도구의 중간인 데이터 전처리 과정(데이터 탐색, 통합, 카탈로깅, 정제, 변환, 모델링 등)에서 요구되는 복잡도와 소요시간을 줄여주는 도구’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SSDP 등장 배경...
- 블로그 고수의 팁 ‘공감’과 ‘검증’ 지난 34편에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잠깐만 리뷰를 하자면, 아래 그림의 프로세스는 꼭 숙지하시기를 바랍니다. 특히, 공감의 단계에서의 3가지 방법인 ‘Observation(관찰)’, ‘Interview(인터뷰)’, ‘Immerse(체험)’는 정확하고, Value(가치) 있는 작업 결과를 위한 첫 단추이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좀 더 현실세계에서 적용된 사례를 접하고 싶으신 분들은 ‘백종원의 골목식당’이라는 TV 프로그램을 꼭 보시기를 권합니다. 단, 보실 때, 예능에 너무 빠져들지 마시고 디자인 씽킹의 프로세스를 대입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편에서는 회사에서 어떤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 블로그 시민과 함께 만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행정 서비스 스마트시티는 한글로 풀면 지능형 도시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능형 도시란 무엇이며 지능을 가진 똑똑한 도시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이번 편에서는 지능형 도시 구현을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보고 똑똑한 미래 도시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시티는 정부의 행정 서비스에 있어서도 새로운 질서(Governance)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새로운 행정 서비스들이 등장하여 시티를 보다 스마트하게 만들고 있을까요? 리빙랩으로 함께 혁신하다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는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