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it에 대한 1395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업무 속의 전략 기획” #3 미래 역량과 의사소통의 중요성 지난 27편에서 회의록에 대해 다뤘었는데요. 회의 문화 개선을 위해 여러분께 꼭 공유하고 싶은 내용이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회의 10대 Ground Rule’인데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17년 3월에 발간한 ‘대한상의 브리프’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이 Rule을 읽어 보시고 여러분과 여러분 회사는 어떤지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으면 합니다. 직장인이 미래를 위해 육성해야 할 전략 기획 역량 그럼, 이제 오늘 여러분들과 나누고자 하는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크게 두 가지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먼저, ‘직장인이 미래에 가져야...
- 블로그 상상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의 등장 행동(Action)과 관련된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 수준으로 구현되기 매우 어려운 분야로 생각되어 왔습니다. 인간 수준의 행동이란 단순히 현재 만을 고려해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행동이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동시에 최종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 순간 계획(Planning)과 결정(Decision)이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때로는 현재 시점에서 최선의 선택이 아니더라도 장기적 관점에서 목적 달성에 도움이 된다면 차선책을 선택해 행동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인간처럼 행동하는 인공지능을 구현하기는 쉽지 않았는데요. 하지만 최근...
- 블로그 AR, 스마트폰이 사라질 세계를 예언하다. 5년 전, 지인들과 대화에서 ‘스마트폰의 다음이 있을까?’라는 주제가 다뤄진 적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비즈니스가 급성장 중이었던 것만큼 Next big thing도 큰 화두였죠. 당시 스마트폰은 어찌 보면 궁극의 기기와 같았습니다. 이동성, 확장성, 범용성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 보니 상기한 대화에서 ‘스마트폰의 다음은 없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그리고 ‘만약 스마트폰의 다음이 있다면 무엇일까?’ 이견을 좁히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공통적인 의견이 있었다면, 착용하는 웨어러블이 성장할 가능성은 크다는 것인데요. 웨어러블이 스마트폰을 대체하는 것까지 이어질 수...
- 블로그 스마트시티, 미래 모습을 현재에 그리다.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정부만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향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재 시리즈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들과 기술, 적용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이미 세계 각국에서 스마트시티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그렇다면 스마트시티는 어떠한 모습으로 만들어져 가고 있을까요? 스마트시티의 대표적 해외 사례들을 통해 각국은 어떠한 목적과 방법으로 스마트시티를 추진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속 가능한 도시를 건설하다. 도시는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에서 가장...
- 블로그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 기계, NLU 컴퓨터와 같은 기계에 우리가 원하고자 하는 바를 수행하도록 하려면, 우리는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는 표현으로 명령문을 내려야 합니다. 필요한 문장을 출력하게 할 때도 print 명령문을 이용하고, 덧셈과 같은 단순한 연산을 할 때도 방법을 작성해야 합니다. NLU(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라는 기술이 등장한 취지는 기계에 기계어가 아닌, 사람이 평소 쓰는 자연스러운 표현 그대로 제공해도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자는 데 있습니다. 영화 ‘스타워즈’의 C-3PO나 R2D2, ‘아이언맨’의 자비스 같은 로봇 비서를 예로 들 수...
- 블로그 도시, 분산발전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다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정부만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향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재 시리즈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들과 기술, 적용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세계 인구는 도시를 중심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UN Habitat에 의하면 현재 전 세계 인구의 55%가 도시에 거주 중이며, 개발 도상국의 도시화로 인해 2040년이 되면 66%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도시의 전력 수요...
- 블로그 LG CNS Fun IT Quiz 이벤트 당첨자 발표 LG CNS Fun IT Quiz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앞으로도 독자 여러분께 더 많은 도움드릴 수 있는 LG CNS 블로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벤트에 당첨된 행운의 주인공을 발표합니다. 문제 및 정답 보기 문제 1번 GDPR은 지난 4년 동안 회원국 간의 협상 과정을 거쳐, 2016년 4월 27일 공식 채택되었고, 각국 정부와 기업에서 준비할 수 있도록 2년의 유예기간을 부여했습니다. 정답: O 원문 보기 클릭 문제 2번 현재 LG CNS의 MDD 수준은 코딩 소스가 100%...
- 블로그 LG CNS 2018년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LG CNS는 지난 30년 동안 대한민국을 대표해 온 IT 서비스 전문기업입니다. 제조•금융•공공•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과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에게 컨설팅, 시스템 구축•운영, 아웃소싱 등의 토털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IT 신기술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LG CNS에서는 아래와 같이 2018년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모집요강 ● 지원자격 및 일정 LG CNS 신입사원 채용 사이트 바로가기http://careers.lg.com
- 블로그 오픈소스 계의 ‘MS 오피스’는 무엇이 있을까? 컴퓨터를 구매하고 가장 먼저 세팅하는 작업은 무엇인가요? 많은 분이 문서 프로그램을 구매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을 많이 하실 겁니다. 한국에서는 특히 한컴 오피스나,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피스가 대중적으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구글 닥스 같은 제품도 꽤 소비되고 있습니다. 많은 기술 분야에 오픈소스 기술이 넓게 퍼진 것처럼 이 문서 도구 분야에도 오픈소스 기술들이 나왔습니다. 물론 성공했다고 말할 만큼 널리 사용되지 않았지만, 그 시작은 굉장히 빨랐습니다. 스타라이터, 오픈소스 문서 편집기의 조상 1985년 독일 뤼네부르크에 살던 16세 ‘마르코...
- 블로그 로봇 기술의 미래, 군집 로봇 이탈리아 국가연구위원회(Italian National Research Council) 산하 인지과학기술연구소(Institute of Cognitive Sciences and Technologies)는 EU 자금지원을 받아 ‘SAGA(Swarm Robotics for Agricultural Applications)’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SAGA는 꿀벌들의 군집 행동에서 착안해 군집 로봇 기술을 농업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입니다. 사탕무(Sugar Beet)를 키우는 농장의 경우, 자생 감자의 무분별한 확산으로 고민하고 있는데 잡초를 제거해주면 사탕무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고 합니다. SAGA 연구팀은 비전 시스템을 갖춘 다수의 농업용 드론을 투입해 공중에서 잡초에 관한 맵을 만들고 군집 로봇이 잡초를...
- 블로그 유럽의 스마트시티, 스마트 시민 정신 초기의 스마트시트는 현대화된 도시, 지속할 수 있는 도시 등 목적물로 바라보는 견해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수단과 과정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4차 산업혁명을 담는 플랫폼으로 보는 개념으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시티는 공급자 중심의 닫힌 생태계가 아니라, 수요자 중심, 시민참여 중심의 열린 생태계의 플랫폼이며 교통, 에너지 등 각 도시의 각 분야가 수직적으로 각각 구축된 것이 아니라, 여러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수평적 통합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최근 ‘스마트 시민’이란 용어가 스마트시티 사업의 이슈 중...
- 블로그 각국의 도시와 기업은 왜 스마트시티에 집중할까? 최근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열렸던 CES에서도 스마트시티가 주요 주제로 다뤄졌는데요. 최근 시스코, 화웨이, AT&T 등과 같은 통신장비 및 통신서비스 기업뿐만 아니라, 구글, 아마존, 알리바바 등과 같은 IT 기업, 포드, 도요타 등과 같은 자동차 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업 외에도 서울시, 바르셀로나, 런던 등 지자체, 지방정부 등도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라는 단어는 이미 회자된 지 오래됐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유비쿼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