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물류에 대한 385개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중국, ‘인터넷 플러스 정책’과 함께 스마트하게 성장하다!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백찬혁입니다. 중국이 명실상부한 G2(Group of 2)로 자리잡으며 중국 기업들 역시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예가 바로 미국 ‘포춘(Fortune)지’에서 발표한 2015년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 결과입니다. 국가별로 따져본다면 미국 기업이 128개로 25.6%, 중국 기업이 106개로 21.2%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미국은 작년과 동일한 수인 반면, 중국은 6개 기업이 늘어났습니다. 중국의 성장과 함께 중국의 기업 역시 엄청난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중국 기업들은 어떻게... 2015.12.04
- 블로그 퍼블릭 클라우드의 성장과 미래, 그리고 새로운 기회들 LG CNS 영문블로그(www.lgcnsblog.com)에는 해외 석학들이 참여하여 앞선 IT 트렌드와 IT 세상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담은 글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영국, 핀란드 저명 필진의 수준 높은 글을 국문블로그에도 소개하여 여러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호응 부탁드립니다. 이번 시간에는 핀란드의 Reddal사의 클라이언트 디렉터인 퍼 스테니우스(Per Stenius) 박사가 ’퍼블릭 클라우드’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제 우리 일상의 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많은 분들이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인식하지 못하고 계시지만,... 2015.11.30
- 블로그 지식 경영: 지식을 정보로 바꾸는 디지털화 LG CNS 영문블로그(www.lgcnsblog.com)에는 해외 석학들이 참여하여 앞선 IT 트렌드와 IT 세상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담은 글을 연재하고 있는데요. 미국과 영국, 핀란드 저명 필진의 수준 높은 글을 국문블로그에도 소개하여 여러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호응 부탁드립니다. 지난 편의 클라이브 기포드(Clive Gifford) 작가의 ‘컴퓨터의 탄생, 시대를 앞서간 찰스 배비지’ 글에 이어(http://blog.lgcns.com/950) 이번 시간에는 미국 일리노이 대학의 존 간트(Jon Gant) 교수의 지식경영을 발전시키는 디지털 세상 이야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지식을 통한 조직의 디지털화가... 2015.11.16
- 블로그 LG CNS 국산기술로 해외 물류설비 장벽, 뻥 뚫었다 – 말레이시아 최대 택배사 포스라쥬 물류센터 구축, 본격 가동 – LG CNS가 유럽 기업이 독식하던 물류 설비를 국내 기업 최초로 국산화한데 이어 말레이시아에 수출, 현지에 스마트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본격 가동에 나섰습니다. LG CNS는 최근 말레이시아 1위 택배사인 포스라쥬(PosLaju)1의 우편물류 집중처리센터(Integrated Parcel Center, 이하 IPC)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LG CNS는 기존에 100% 수작업으로 운영되던 포스라쥬 물류센터에 자동화된 물류허브센터를 구축, IT솔루션을 포함한 소터 2설비 일체를 공급했습니다. 말레이시아 전자상거래 시장은 해마다 30% 이상 성장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포스라쥬 택배 물량이 2010년 대비 3배... 2015.10.01
- 홍보센터 LG CNS 국산기술로 해외 물류설비 장벽, 뻥 뚫었다 말레이시아 최대 택배사 포스라쥬 물류센터 구축, 본격 가동 2015.09.30
- 블로그 Industry 4.0, 제조업의 효율성을 최적화하라 – 제조업을 혁신하다. Indusrty 4.0 (1편)- 그동안 제조 시스템의 발전 현황과 새롭게 추가되고 있는 제조 관련 IT 기술들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Industry 4.0’이 추구하는 목적과 기능들에 대해 살펴보고, 미래 제조업을 위한 혁신 사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verything that can be invented has been invented? : 발명할 수 있는 것은 이제 다 발명되었다? 위의 소제목은 1899년 당시 미국 특허청 검사관이었던 찰스 듀엘(Charles H. Duell)이 시대를 앞서 남긴 아주 비관적인 예측에 물음표를 더한 것인데요. 이 때는 에디슨이... 2015.09.07
- 블로그 3D 프린팅 시장과 3D 제조 플랫폼 동향 – 우리의 삶을 바꿔가는 3D 프린팅 (2편) – 지난 시간에는 ‘적층 가공법의 도입과 부가가치 창출효과’에 대해 살펴 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3D 프린팅을 둘러싼 새로운 시장 형성과 3D 제조 플랫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D 프린팅을 둘러싼 새로운 시장 및 생태계 형성 요즘은 친구가 보낸 문서를 프린트하기 위해 복사집이나 PC방 등에 가지 않아도 되죠. 이처럼 3D 프린터를 통한 제품 가공 방식의 변화는 마치 소셜 네트워크처럼 제조 활동에 관계된 여러 이해 관계자들 사이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허물고 있습니다. 생산의 주체와 객체에 대한... 2015.08.17
- 블로그 3D 프린팅, 부가가치를 출력하다 – 우리의 삶을 바꿔가는 3D 프린팅 (1편) – 최근 3D 프린팅에 이어 4D 프린팅까지 등장하여 미래의 제조 환경이 크게 바뀌어 갈 것이라고 예상되는데요. 오늘 이 시간에는 3D 프린팅을 이용한 ‘적층 가공법(Additive Manufacturing)’의 도입과 그 부가 가치 창출 효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적층 가공법이란 무엇인가? 이미 익숙한 키워드가 된 3D 프린팅을 이용한 ‘적층 가공법’은 재료를 변형하고 가공할 때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즉 ‘만드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는 기존의 ‘절삭’ 또는 ‘성형 가공’, ‘조립’ 방식과는 또... 2015.08.10
- 블로그 로봇의 진화, 인간형 로봇이 활약하는 시대 – IoT 시대의 지능형로봇 (2편) – 전편에서는 ‘생활 환경의 지능화’와 ‘지능형 로봇 기술의 발달’로 인한 IoT 시대 지능형 로봇의 긍정적 전망을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2편에서는 지능형 로봇의 세계 기술 동향과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IoT 시대의 지능형로봇 (1편) : http://blog.lgcns.com/842 세계 로봇 시장동향 먼저 현재의 로봇기술과 산업현황을 간단히 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로봇협회 IFR의 World Ro-botics 2014에 따르면, 2013년 세계 로봇시장은 약 15.5조원규모인데요. 제조용로봇이 10조원, 전문서비스로봇 3.5조원, 개인용서비스로봇이 2조원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시장규모는 최근 4년간 매년 약 10% 정도의 성장을... 2015.07.20
- 블로그 인간을 닮아가는 로봇 – Cobot, 로봇에서 인간으로 변신을 꿈꾸다 (1편) – 최근 화두 중 하나인 로봇을 제조 현장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제조업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공장 내 생산 설비 자원들 중,’Cobots(Collaborative Service Robotics)’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obots’의 작동 원리 및 진화 과정, 그리고 적용 시스템까지 1편 ~ 3편으로 나누어 만나보시죠 전통적 로봇의 역할 로봇은 위의 그림에서처럼 공장 현장에서 물류의 흐름을 좌우하는 설비 자원입니다. 기본적인 재료 운반의 역할뿐만 아니라, 사람이 하기 힘들거나 번거로운 일 혹은 위험한 작업에 로봇들이 투입되어 왔죠.... 2015.07.08
- 블로그 ‘나’와 다른 ‘너’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IT의 역할(15편) – Manufacturing as a Production Vs. Manufacturing as a Service – 지난 14편에서는 제조 시스템의 물리적 요소들과 관련한 ‘Both-Shoring’ 전략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이어서 오늘 이 시간에는 모듈화된 생산 플랫폼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모듈화를 통한 진화된 물리 제조 플랫폼 : 무엇을 조립할 것인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칼리스 볼드윈(Carliss Y. Baldwin)은 플랫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는 제품 자체가 될 수도 있고, 기업 내의 생산 라인일 수도 있고,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여러 기업들 간에 공유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여러 개의... 2015.06.03
- 블로그 ‘나’와 다른 ‘너’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IT의 역할(14편) – Manufacturing as a Production Vs. Manufacturing as a Service – 지난 12~13편에서는 제조 산업의 과거와 현재를 통해 서비스화 및 IT를 통한 우리나라 제조 산업의 나아갈 방향을 거시적으로 조명해 보았는데요. 이어서 오늘 이 시간에는 지속 가능한 제조업의 성장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전략적/기술적 핵심 요소들과 그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차세대 Both-Shoring 전략 : 어디에서 가져와서 어디에서 조립할 것인가? ● ‘Offshoring’과 ‘Reshoring’ 사이에서 최근 미국 및 유럽 제조업의 전략적/정책적 이슈는 ‘Reshoring(생산 기지의 자국 복귀)’입니다. 미국처럼 중국과 같은 원거리에 생산 기지를 둔 경우, 제품이... 201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