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API에 대한 12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해킹과 과다 요금 발생을 방지하는 AWS 계정 보안 강화 노하우 Intro 최근 AWS Account 탈취로 인한 AWS 결제 비용 과다 청구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Account나 개인의 Account 로그인 정보를 획득해 자주 사용하지 않는 Region(AWS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인 국가/도시 단위의 위치, 이하 리전)의 Computing Resource를 사용하는 채굴 또는 목적 없는 리소스 과다 사용을 통한 Account Owner에 금전적 피해를 입히려는 악의적인 활동 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 Account 보안을 강화해 해킹을 방지하는 방법과 실수로 Account 정보가 노출되었을...
- 블로그 AI와 데이터로 지구를 지키는 방법! ‘기후테크(CTech)’ IT 기술이 기후 위기를 막을 히어로가 될 수 있을까요? 기후테크(Climate Technology, CTech)는 기후 변화를 막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을 뜻합니다. 글로벌 회계 및 컨설팅 자문업체인 PwC는 기후테크의 특징을 3가지로 정리했는데요. 첫째, 탄소 배출을 줄이거나, 둘째, 기후 변화 사태에 대응하거나, 셋째, 기후 변화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기술로 표현했습니다. 즉, 탄소나 온실가스 배출 억제에 도움을 주고,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모두가 기후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 많은 투자자들이 기후테크를 미래 산업을 이끌...
- 블로그 화이트 레이블을 품은 핀테크, 무엇이 달라지나? ‘화이트 레이블(White Label)’ 또는 ‘화이트 레이블 프로덕트(화이트 레이블(White Label Product)’는 회사의 브랜드를 이용해서 다른 회사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다른 제작사나 방송사가 만든 동영상 콘텐츠에 넷플릭스 로고를 부착해 제공합니다. 간혹 다른 OTT(Over-the-Top media service)에 포함된 동영상에서도 넷플릭스 로고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와의 구분을 혼란스럽게 하면서 콘텐츠를 통해 넷플릭스 브랜드를 더 노출하는 개념입니다 그럼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과는 무엇이 다를까요? OEM은 생산자가 주문자의 상품을 상표와...
- 블로그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컴포저블 애플리케이션 주목! 가끔씩 레고(LEGO)를 가지고 놀았던 기억을 떠올려봅니다. 레고 블록을 조립하면 자동차, 마을, 우주선 등 다양한 모습을 만들 수 있습니다. 레고의 장점은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도록 만들고, 이를 통해 무한한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습니다. 레고를 통해 만들어낼 수 있는 무한에 가까운 조합은 창의성을 극대화합니다. 한발 더 나아가 레고는 오픈소스와 같은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불법 블록까지 포함한 다양한 블록과의 호환을 위해 블록 크기를 공개했고 사실상 하나의 표준을 만들었습니다. 최근...
-
블로그 데이터 시장 신 패러다임 ‘마이데이터’
산업의 판을 뒤집다! 2021년, 데이터 업계 내 화두는 마이데이터(Mydata)였습니다. 특히 금융 기업이 먼저 나서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공개하면서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죠. 실제 소비자에게 어떤 평가를 받을지 판단하기엔 아직 이르지만, 마이 데이터 정책 시행 이후 데이터 산업은 활기를 띠고 있는 건 분명합니다. 마이데이터 정책은 언뜻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조치로 보이지만 그렇다고 개인 정보 활용을 막는 조치도 아닙니다. 오히려 기술과 법적 조치를 강화해서 기업이 합법적으로 개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번... - 블로그 실시간 서비스 연결 척척! 오픈 API 생태계의 끝은 어디? SaaS간 연결 서비스 사례 : 슬랙, 지라 초창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서비스의 조회에 집중됐던 것과 달리, 현재의 서비스는 여러 개의 API를 이용해 서비스를 원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됐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은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서비스가 변화한 것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죠. 과거 설치형 소프트웨어나 모놀리틱 기반 서비스의 경우, 특정 서비스들을 끊어서 연결하거나 서비스 간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았는데요.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MSA 내부에서 이용하고 있던 API를 외부에...
- 블로그 API가 만드는 혁신, 온라인 서비스의 판을 바꾸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비(非) 그래픽 인터페이스입니다.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서로 분리된 시스템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2000년 초부터 웹 기반으로 사용됐습니다. Web 2.0을 통한 빠른 소프트웨어 확산의 개념은, 모바일 서비스의 발달과 클라우드, MSA등의 구조적 변화와 함께 Open API를 활용한 매시업(mash-up) 서비스로 실현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공 API를 활용하는 사례부터, 기존 API의 특징을 무료로 활용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 블로그 [RED팀]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API보안 이해로 개인정보 철통방어! 앱 중심의 세상 속에서 혁신의 기본 요소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입니다. API는 클라우드, IoT, 모바일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요. 특히 API를 통해 전달되는 개인식별정보, 신용정보 등의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API 보안이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국제 웹보안 분야의 대표적인 비영리단체인 OWASP(국제 웹 보안 표준기구, The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는 2019년에 API 보안 Top 10을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특성에 맞는 취약점의 관리와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 블로그 법률을 준수하는 보안 설계 프로젝트 수행 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고 정보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 솔루션들을 도입하게 되는데 이때 ‘보안 관련 법률을 잘 준수되는 시스템을 구축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고민하였던 적이 있었습니다. 보안 법률을 잘 준수하기 위한 절차 및 설계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1. 준수해야 될 보안 법률 식별하기 2. 법적 요건 도출하기 3. 보안 설계 요건 도출하기 4. 설계 시 반영•검토하기 위와 같은 절차대로 수행하면 보안 관련 법률을 준수하는 보안...
- 블로그 빅데이터로 발전하는 뉴스 서비스의 모습 “뉴스 서비스의 발전을 위해 빅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될까요?” 뉴스의 진보를 위해 빅데이터가 어떻게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는지 하나하나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많은 뉴스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Juicer’ 과일이나 야채의 즙을 짜내는 기구를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영국의 공영방송 BBC에서 뉴스를 집계하거나 뉴스 콘텐츠를 추출해내는 API를 말하려는 겁니다. 그 API를 Juicer라고 부르거든요. BBC는 Juicer에 대해, ‘뉴스를 수집하고 집계하는 파이프라인(Pipeline)’으로 소개합니다. 현재 BBC Juicer는 영국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뉴스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약 850개의 RSS 피드를...
- 블로그 사람이 읽기 쉬운 코드 LG CNS의 신입사원 기술교육은 힘든 것으로 유명합니다. 물론 힘든 만큼 빠르게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대학교 때 컴퓨터를 전공하지 않은 신입사원들도 얼마든지 ‘코딩의 신’이 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마법의 교육이죠. 하지만 저는 2011년 당시 컴퓨터 관련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신설된 ME(Mobile Embedded) 과정에 배정되었고, 그만큼 교육의 난이도도 더 높았습니다. 그 당시에 회사 안팎에서 훌륭한 강사님들이 오셨고 다양한 내용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대학교에서 배운 것에서 훨씬 심화된 내용이었습니다. 이후 해당...
- 블로그 ‘나’와 다른 ‘너’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IT의 역할 (2편) – 인터페이스 동향과 그 속에 숨겨진 복잡성에 대해 – 지난 시간에는 서로 다른 개체들을 분류, 인식하고 주변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의 IT의 역할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오늘은 단순한 인터페이스 속에 숨겨진 복잡성, 그리고 최근 인터페이스의 동향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단순한 인터페이스(Interface), 그 속에 숨겨진 복잡성! 작년, 주인공이 컴퓨터 운영 체제(OS)와 사랑에 빠지는 내용의 ‘그녀(Her, 2013)’라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이 영화는 IT의 관점에서 볼 때, 아주 많은 이야깃거리를 던져 주고 있었는데요. 뿐만 아니라 ‘주인공은 왜 그렇게 되었을까?’라는 의문도 들게 만들었습니다. 물론 디지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