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CSP에 대한 52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EC2 라이프사이클 스케쥴링 1. 개요 AWS와 같은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클라우드 리소스 비용 문제에 당면하게되곤 합니다. 이때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비용 절감 해결책으론 사용 중인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양을 줄이는 Down Scaling입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양이 낮아짐으로 인해 개발 환경이 느려져 개발 퍼포먼스가 떨어져 프로젝트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양은 유지하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 혹은 운영을 하지 않는 시간에 클라우드 리소스를 중지하는 것입니다....
- 블로그 AWS 서비스로 구현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1. 개요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솔루션을 검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AWS 환경을 사용한다면 AWS에서 제공하는 Managed Service를 통해 손쉽게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실제 프로젝트에서 활용된 AWS Managed Service를 사용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성 방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관련된 서비스 3. 구성 방안 3.1 데이터 파이프라인이란? 들어가기에 앞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파이프라인이란 데이터의 추출(extracting), 변경(transforming), 결합(combining), 검증(validating)...
- 블로그 AWS 서비스로 Aurora Mysql DB 접근제어 구현하기 1. 개요 일반적으로 AWS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Amazon Aurora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Aurora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민감 정보이거나 개인 정보로 식별이 된다면 반드시 DB 접근제어 솔루션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여야 합니다.하지만 작은 프로젝트의 경우 소수의 개발자/엔지니어 통제를 위해 상용 DB 접근제어를 도입하기엔 비용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기능을 이용한 DB 접근제어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DB 접근 제어의 요건• 누가 데이터에 액세스하거나 수정했습니까?• 데이터에 액세스하거나 수정 한시기는 언제입니까?• 특정 사용자가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 블로그 AWS Session Manager를 통한 Bastion Server 대체 및 보안 강화 1. 개요 CSP(Cloud Service Provider) 환경 혹은 On-premise 환경에서 서버 접근 제어를 위해 Bastion Server(Jumping host)를 구축하게 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CSP 환경, 그중 AWS 사용 시 Bastion Server를 대체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인 AWS System Manager Session Manager 서비스를 활용한 서버 접근 제어 구현을 다루겠습니다. 2. 내용 일반적으로 Service를 위한 EC2는 Private Subnet에 배치하고 ALB를 Public Subnet에 배치하여 서비스를 노출하곤 합니다.이때, 시스템 엔지니어 혹은 개발자들이 자신의 로컬 환경에서 Private Subnet에 위치한...
- 블로그 AWS IoT Core Endpoint 신뢰하지 않는 인증서 오류 트러블슈팅 1. 개요 AWS IoT Core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시 SDK를 사용하여 백엔드를 개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번 포스트는 Backend에서 IoT Core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시에 겪은 ‘신뢰하지 않는 인증서 오류’를 해결한 케이스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2. 트러블슈팅 2.1 배경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2.2 발단 개발 환경은 Spring boot로 개발된 Backend Pod가 EKS on EC2로 기동 중이었으며, Backend에서 IoT Core를 통해 IoT Device에 Rule을 내리는 기능이 개발 중이었습니다. 이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위의...
- 블로그 Amazon EC2 리눅스 환경에 GUI로 접속하기 1. 개요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EC2에 어떤 솔루션을 설치해야 할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정 솔루션의 경우 Linux 환경이지만 GUI 환경을 통해서만 Configuration이 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mazon EC2 Linux 환경에 GUI를 통해 접근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 방법 2.1 (EC2 서버) 데스크톱 환경 설치 1.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인 MATE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2. MATE 데스크톱 환경을 모든 사용자에 대한 기본 데스크톱으로 정의 합니다. 2.2 (EC2 서버) VNC 설치 VNC(Virtual...
- 블로그 시스템 구축을 하루 만에? 효과적 AM을 위한 서버리스 활용법 서버가 없다?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오해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속 민첩한 대응을 위해 서버리스 아키텍처(Serverless Architecture)와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과 배포가 더욱 편리해지고, 성능이 향상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버리스 아키텍처란 무엇인지,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단점까지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말 그대로, 서버가 없다는 뜻일까요? 골치 아픈 인프라 구성도 필요 없을까요? 대답은 ‘아니다’ 입니다. 이는 대표적인 서버리스 아키텍처에 대한 오해입니다. 서버리스 아키텍처에는 서버를...
-
블로그 MSP 시장 강자 LG CNS가 알려주는
MSP와 CSP 차이 [찐텐 올라가는 DX기술시리즈] 클라우드 2편 기업들이 디지털전환(DX)에 나서면서 클라우드 시장도 함께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지난해 약 481조 규모였던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은 올해 약 588조원, 내년 약 717조원 규모에 달할 전망입니다. 실제 많은 IT 기업들이 자체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는 대신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IT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클라우드 사업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의 ICT 자원을 가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해 그때 그때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대두되는 MSP의 필요성, 클라우드 사업 든든한 지원군 역할 클라우드 대중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최근 고객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loud Service Provider, CSP)’를 연결하는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anaged Service Provider, MSP)’의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 CSP는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다수의 물리 서버스를 가상화해 제공하며 네트워크, 스토리지, 전력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어떤 CSP가 자사 비즈니스 전략에 적합한 지,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데요. 이에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컨설팅부터 전환, 구축, 운영, 유지보수 서비스까지 전반의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MSP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급증하고 있습니다. MSP는 CSP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고객 요구에 맞춰 최적의 구성방안을 가이드합니다. 효과적인 서비스 구성안을 적용하고, 적용된 클라우드 인프라가 24시간, 365일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관리를 돕고 있습니다. 아마존 AWS(Amazon Web Servic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oogle Cloud Platform)과 같은 글로벌 CSP가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한다면, MSP의 경우 고객사 시스템을 CSP 클라우드로 이관하고 운영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클라우드 전환, 운영, 관리가 필요한 고객들에게는 또 다른 고민거리도 존재합니다. MSP 업체들이 클라우드 인프라 중심의 관리 서비스만 제공하거나, 고객의 업무 내용, 고객의 산업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에서 빼내 자체 데이터센터로 다시 가지고 오는 기업들도 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송환(Repatriation)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현상은 비용과 성능 등 여러 측면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의 한계를 느낀 고객 위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CSP에 대한 전문성과 IT기술역량, 노하우를 갖춘 MSP를 선택해 지원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MSP... - 블로그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하려면? ‘이것’부터 시작해라! CSP(Cloud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살펴보고, CSP가 제시하는 비용 할인 정책에 대해 살펴본 지난 편(Part 3. 클라우드 비용 할인 정책) 에 이어 이번 편에는 마지막으로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비용을 관리할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지난편 보기] 멀티 클라우드 시대, 클라우드 서비스 ‘잘알’이 되려면?● [지난편 보기] 클라우드 할인 정책 전격 비교! 내게 맞는 ‘갓성비’ 요금제는? Part 4. 클라우드 비용 관리 클라우드는 필요할 때마다 리소스를 계속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한 만큼 비용이...
- 블로그 클라우드 할인 정책 전격 비교! 내게 맞는 ‘갓성비’ 요금제는? CSP(Cloud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살펴본 지난 편(Part 1. 클라우드 서비스 프레임워크, Part 2. 클라우드 서비스 포트폴리오)에 이어 이번에는 CSP가 제시하는 비용 할인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 [지난편 보기] 멀티 클라우드 시대, 클라우드 서비스 ‘잘알’이 되려면? CSP의 서비스 포트폴리오와 그 비용을 비교하는 것은 클라우드 도입에 앞서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입니다. 기업의 워크로드 환경이나 애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한 포트폴리오를 선택해 최적의 요금제를 적용해야 클라우드 도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블로그 멀티 클라우드 시대, 클라우드 서비스 ‘잘알’이 되려면? 지난해부터 전 세계적으로 창궐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언택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세는 매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포레스터 리서치는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규모가 2020년에는 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의 클라우드 도입이 확대되면서 클라우드 관련 기술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이에 발맞춰 매년 각 CSP(Cloud Service Provider)는 천문학적인 투자를 통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자체 행사를 통해 공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CSP들의 신규 서비스 경쟁은 클라우드 환경에...
- 블로그 클라우드 도입 전 꼭 알아야 할 ‘클라우드 보안’ ① ‘한비자(韓非子)’에 나오는 이야기 중에, 매독환주(買櫝還珠), 즉 상자만 사고 구슬은 돌려준다는 말이 있습니다. 초나라 사람이 정(鄭)나라로 진주를 팔러 갔는데 값을 비싸게 받으려고, 목란(木蘭)으로 상자를 만들어 좋은 향기가 나도록 한 다음, 온갖 주옥으로 화려하게 꾸며 장식했다고 합니다. 지나가던 정나라 사람이 시장에서 초나라 상인의 물건을 보고 마음에 들어 그 자리에서 상자를 사고 상자 속에 들어 있던 옥을 돌려줬다고 합니다. 이 고사는 화려한 겉모습에 현혹되어 중요한 본질은 놓침을 이르는 이야기입니다. 최근 기업에서 클라우드 환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