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하기

도시 및 공간

스마트 스페이스
스마트 스페이스, 미래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최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 기술과 스마트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면서, 공간 측면에서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복합 단지, 산업 단지, 주거 단지, 특수 목적 공간 등 다양한 공간이 결합한 데이터 중심의 라이프 혁신을 제공하는 플랫폼 기반 스마트 서비스 구축이 확대되며, 스마트 스페이스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거, 사무 및 도시 공간이 스마트 스페이스화 되면서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및 스마트 시티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스마트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운영 체제와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공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도시 관제 서비스와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가 결합한 도시 공간 서비스가 스마트 스페이스 고도화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선제적 도시 운영, 시민 참여형 도시 운영, 도시 운영 최적화
도시 관제의 패러다임 변화

2000년 이후 도시는 2010년 시작된 유비쿼터스 시티(U-City)에서 2018년 세종 스마트 시티 국가 시범도시와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 시티가 대두되면서 업무, 주거 및 도시 공간이 통합된 스마트 시티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시티는 시민에게 직접 제공되는 ‘물리 계층’과 도시가 소프트웨어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계층’이 융합된 구조로 구성됩니다. 이 구조는 서비스, 플랫폼, 공간, 인프라의 4개 계층으로 구성되며, 이를 유기적으로 통합 운영할 수 있는 도시 관제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도시 관제의 업무 효율화를 위한 고려 사항

스마트 시티의 다양한 공간과 스마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 대응뿐만 아니라, 최적화와 예측 등을 통해 더욱 지능적인 도시 관제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 데이터뿐만 아니라, 민간 데이터를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활용 운영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기반 도시 운영, 데이터 분석 기반 도시 운영 최적화, 시뮬레이션 예측 기반 선제적 도시 운영, 데이터 개방 및 활용 기반 시민 참여형 도시 운영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LG CNS가 제공하는 도시 관제 서비스

AI와 빅데이터 기반 데이터 수집 및 가공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저장하여 분석할 수 있는 인프라와 플랫폼을 구축하고, 빅데이터를 AI 기반으로 분석, 시각화하여 도시 관제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체계와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도시 통합 관제

다양한 상황정보를 취급하는 관제 요건을 고려하여, 관제 대상을 목적에 맞게 구분하여 표출 방식을 설정하는 관리 도구를 확보하였으며, 위젯 또는 이미지 뷰 등 다양한 시각화 기능을 통해 효과적인 상황 관제를 지원합니다.

디지털 트윈 기반 대응체계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반 실시간 데이터 추론을 위한 ‘End-to-End’ 지원과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제공을 통해 예측 기반 대응체계를 마련하여 선제적 도시 운영이 가능합니다.

도시 관제를 완성하는 LG CNS 솔루션
Cityhub

LG CNS의 Cityhub는 도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데이터 중심 스마트 시티 플랫폼입니다.

 

시설물, 시스템, 외부 기관과 연계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관리, 분석하여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에 제공합니다. 특히, Cityhub의 6가지 핵심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더욱 쉽게 분석할 수 있으며, 도시 정보를 더욱 효율적으로 표출할 수 있습니다.

맞춤형 솔루션
  • 모듈형 설계로 고객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설계 가능
  • 데이터 수집부터 공유까지 전 영역의 스마트 시티 요구사항 지원
확장성
  • 국제표준 준수를 통해 타 표준 플랫폼 및 데이터 간 상호연동 용이
  • 다양한 연결성(Connectivity) 제공으로 도시 디바이스 및 타 시스템과의 연계 용이
지속 가능
  • 자사의 7대 전략 브랜드와 연계로 최신 기술 변화에 신속한 대응 가능
  • LG CNS 전문가 조직의 지속적인 지원으로 고도화 진행
FAQ
  • 도시 관제는 다양한 서비스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처리해야 하며, 이를 위해 내, 외부의 대용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수집 체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외부 시스템과의 다양한 연계를 통한 데이터 수집체계를 만들기 위해 Open API, DB-2-DB,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Enterprise Service Bus, ESB), 파일 전송 프로토콜 보안(File Transfer Protocol Secure, FTPS) 등의 데이터 연계 방식에 대한 방안이 필요합니다.

  • Cityhub는 OneM2M(one-Machine to Machine) 공통 서비스 기능으로서 기기 식별 및 인증, 접근 권한, 통신 보안 등 보안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구현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스마트 시티 데이터 플랫폼에서 수집, 저장, 이용, 파기되는 정보를 점검해야 하며, 시티 내 일정 수준 이상의 IoT 디바이스는 펌웨어 보호, 기기 인증, 보안 업데이트 등 별도의 IoT 기기 보안 솔루션을 연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IoT 기기뿐만 아니라 인프라, 스마트 서비스 취약점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고 개별 서비스 보안성 검토를 통해 기능 레벨에서의 보안 기능 정의, 설계 단계부터 취약점 진단 및 보안 가이드를 제공하도록 보안 컨설팅이 필요합니다.

  • 개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외부 플랫폼, 시스템, 관계 기관에서 수집할 경우 반드시 개인 정보 처리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Cityhub는 개인 정보 처리가 완료된 외부 데이터만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ityhub와 외부 시스템 연계하려면 해당 시스템에서 개인으로부터 데이터 제삼자 제공 동의를 받아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연계 협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연관 자료
상상을 실현하는 기술, 미래를 여는 도시
스마트 스페이스 패러다임 변화

스마트 스페이스는 기술과 물리적 환경이 융합하여 사용자 경험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공간과 서비스의 한계를 개선하고, 지속 가능성을 증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도시에 기술을 얹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공간 자체의 혁신'과 '공간의 스마트화'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특히 세계 각국은 도시 문제 해결 및 도시의 지속 가능한 번영을 위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구축 추진에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도시 관점에서 관제를 넘어 효율적인 도시 운영을 위한 의사 결정을 위해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오픈 데이터 및 생태계 중심으로 개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 기능을 데이터 중심으로 연계하고, ‘데이터로 도시를 보고, 판단하여, 실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마트시티의 미래 및 LG CNS 역량

스마트시티 사업은 도시 문제 해결과 시민 편의성 증진을 위한 물리적 인프라 및 디지털 인프라 구축 사업과 서비스 사업을 의미합니다. 스마트시티는 시민에게 직접 제공되는 ‘물리 계층(공간과 인프라)’과 도시가 소프트웨어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계층(서비스와 플랫폼)’의 융합으로 구현되며, 다음 4개의 서비스로 구분됩니다.

 

  1. 도시 인프라의 스마트화(Smart Infra)
  2. 도시 공간의 스마트화(Smart Space)
  3. 도시 운영의 최적화(Platform & Solution)
  4. 도시 서비스 운영을 증진하고, 시민 생활을 혁신하기 위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Smart Service)
     

LG CNS는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복합 단지, 산업 단지, 주거 단지, 특수 목적 공간 등 다양한 공간을 대상으로 데이터 중심의 라이프 혁신을 제공하는 플랫폼 기반 스마트 서비스를 구축 및 운영합니다. 또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하여 전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에게 컨설팅부터 스마트시티 설계, 구축, 서비스 운영까지 종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스마트빌딩을 구현하기 위한 고려 사항

스마트빌딩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건물 내 다양한 시스템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지능형 건축물입니다. 스마트빌딩은 사물 인터넷(IoT),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 효율, 사용자 편의성, 안정성을 극대화합니다. 스마트빌딩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건축물의 사용 목적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기술과 설계의 융합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운영 편의성과 건축물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LG CNS가 제공하는 스마트 스페이스 서비스

도시 계획부터 운영까지 종합 서비스 제공

도시와 공간의 고객인 시민 및 운영사 관점에서 분야별 서비스와 수익 모델을 기획하고 고객의 특성에 맞춘 핵심 서비스를 대상으로 기획에서 운영까지 종합 서비스 제공합니다.

빌딩 사업 전체 영역에 맞춤형 지원

LG CNS는 다양한 사업에서 검증된 사업 수행 역량과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활용해 복합, 산업, 주거, 특수 목적 공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컨설팅(설계), 구축, 운영 유지보수 전 영역 및 전 과정에 걸친 맞춤형 지원이 가능합니다. 고객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추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내 No.1 Smart UPB 공급 및 설치

LG CNS는 글로벌 Top 에너지 배터리 공급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 협업하여 국내 최대 및 최다 UPB(Urban Power Bank) 사업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센터 및 UPB 산업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법규와 시장 환경 속에서 플랫폼 기반의 안전한 확장성 보장하는 가장 확실한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랜드마크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gnage) 구축

LG CNS는 다수의 스마트 사이니지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항, 호텔 등 실내·외 공간에 타워, 트리, 파사드, 캐노피, 루프탑, 천장, 터널, 월 마운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 랜드마크 프로젝트를 구축하였으며, 공간에 최적화된 사이니지를 구축합니다.

스마트 스페이스를 완성하는 LG CNS 솔루션
CHB for Building

스마트 스페이스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이기종 간 시스템의 서비스 통합을 수행하는 솔루션으로 표준, 비표준 디바이스 어댑터를 보유하여 통합 시스템 구축 시 구축 기간 단축, 비용 절감, 원활한 확장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시스템 통합 관점의 효율적인 표준 운영 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를 이벤트 연관 설정만으로 직관적으로 구현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관점의 운영 처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이기종 공정 및 서비스 통합

이기종 공정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에너지 관리, 운영 처리 효율 향상

표준 및 비표준 어댑터 보유

140 여종의 표준, 비표준 디바이스 어댑터 보유, 통합 시스템 구축 시 구축 기간 단축, 비용 절감, 원활한 확장성 보장

통합 관점의 효율적 SOP 지원

통합 업무처리 프로세스 지원을 위해 SOP를 이벤트 연관 설정만으로 직관적이고 빠르게 제공

LG Signage Manager

LG 사이니지 매니저는 증가하는 미디어 중요성을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통합 관리, 원격 모니터링을 지원합니다. 또한 쉽고 편리한 스마트 콘텐츠 관리를 통해 간단한 구성과 효과적인 미디어 운영을 지원합니다.

멀티미디어 통합 관리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효율적인 통합 관리 및 원격 모니터링 보장

쉽고 편리한 스마트 콘텐츠 관리

대시보드 위젯 기반의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 증대

사용자 관점에서 다양한 기능 지원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와 스크린 관리, Drag & drop 방식의 플레이 리스트 관리, 편리한 배포 및 플레이어 관리 기능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 증대

BMS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은 단위별 (배터리 팩/배터리 랙(병렬)/시스템(UPS-Set)) 관리로 운영자에게 안전성, 신뢰성,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운영 안정성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이벤트(과전압/과전류/전압 편차 등) 감지, 보호 기능(과충/과방/과열 등) 및 Cell Balancing 작업 수행을 통한 운영 안정성 확보

검증된 신뢰성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를 계산하여 1~5초 단위 정보 전송하며, 정확한 가용시간 계산을 통한 신뢰성 확보

사용자 관점의 편의성

실시간 전송되는 주요 정보 요약 화면으로 가시성 확보 및 모듈화를 통한 장애 시 간단한 교체를 통해 편의성 증대

FAQ
  • 스마트 스페이스는 단순히 도시나 건물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공간 자체의 혁신’과 ‘공간의 스마트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시민의 서비스 이용 편의성 및 직관적 도시 운영을 위한 통합 플랫폼 구축으로 가시성 확보, 생활 혁신 서비스 기획, 스마트시티 건설과 연계한 공간 기획 및 IT/DX 기반으로 공간의 스마트화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 LG CNS는 스마트 스페이스의 설계, 구축, 운영의 모든 과정을 공공, 민간 분야의 고객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영역에 대해서 사업 단위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구축에 참여하지 않아도 운영 사업만 진행하는 형태의 사업 또는 구축만 진행하고 운영은 고객이 직접 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 고객의 필요에 맞춰 유연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연관 자료
모든 유형의 농장을 스마트팜으로 구축
스마트팜 산업 트렌드

스마트팜 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AI,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빅데이터 등을 농업에 접목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혁신적인 분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해 식량 수요가 급증하면서 지속 가능한 농업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팜 기술은 농업의 미래를 이끌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한 자동화 수준에서 벗어나 정밀 농업(Precision Farming),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등 고도화된 기술들이 도입되면서 농업 혁신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작물 생육 상태와 기후 변화 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재배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수확량 증대와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물과 비료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수확량과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어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에도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농업의 자동화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노동력이 부족한 농촌 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스마트팜의 트렌드 변화

초기 단계인 1세대 스마트팜은 주로 원격 모니터링과 제어 기능에 중점을 두었으며, 비닐하우스나 온실 내부 환경을 스마트폰이나 PC로 원격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데이터 수집은 가능했지만, 이를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최적화하는 기능은 부족했고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경을 설정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고령층이나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웠으며, 실질적인 노동력 절감 효과도 제한적이었습니다. 실질적으로는 원격 온도 및 습도 모니터링, 개폐기 제어, 센서 기반 환경 데이터 수집 및 확인 등의 간단한 원격 제어 기능 위주로 사용되었으며, 사용자 편의성 향상에는 일부 이바지했으나 자동화 수준은 낮았습니다.

 

2세대 스마트팜은 데이터 기반 정밀 생육 관리가 가능해진 단계로 발전했습니다. 데이터 기반 정밀 농업은 AI, 빅데이터, IoT 기술을 활용하여 농작물 생육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재배 조건을 찾는 방식입니다. 기존에는 농민들이 직접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했지만 이제 AI가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재배 조건을 제시하고 자동 제어까지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덕분에 고성능 컴퓨터 없이도 저렴한 비용으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소규모 농가도 쉽게 접근하여 정밀 생육 관리를 통한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3세대 스마트팜은 인공지능 기반 무인 자동화가 핵심입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AI 알고리즘이 작물 생육 상태를 예측하고 자동으로 최적의 환경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AI 기반 시스템은 작물 생장 패턴이나 수확량과 수확시기 등도 예측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했습니다. 이 시기부터는 농장 운영 전반에서 인간 개입 없이 자동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파종부터 수확까지 전 주기에 걸쳐 자동화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도 고도화되고, 재생에너지 사용 등을 통한 난방비 절감 등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LG CNS의 미래 비전

LG CNS는 이러한 세대별 기술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팜 사업에서 ESG 경영과 디지털 혁신을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버티컬 팜(수직농장), 노지형 팜, 시설원예 등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팜 솔루션을 개발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버티컬 팜에서는 도심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수직농장 솔루션을 제공하며, 노지형 팜에서는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AI와 빅데이터 기반의 정밀 농업 기술 및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는 무인 농업 및 첨단 농업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시설원예 분야에서는 IoT와 AI 기반의 지능형 플랫폼을 통해 최적의 재배 환경을 조성하여 농가의 수익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LG CNS는 이러한 기술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으로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고자 하며, 모든 유형의 스마트팜에 대한 혁신적인 솔루션 제공을 통해 농업 혁신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컨설팅부터 구축, 운영, DCX까지 스마트팜 통합 서비스 제공

버티컬 팜

LG CNS의 버티컬 팜은 도심 내 유휴 공간이나 건물 내부에서 수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첨단 농업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LED 조명과 수직 순환 수경재배 기술로 작물 생장 환경을 최적화합니다. 버티컬 팜 플랫폼은 자동화된 설비 최적 제어와 머신러닝 및 딥러닝 모델을 활용해 생육 레시피와 운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End-to-End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토털 솔루션을 지향합니다. 또한 자체 제작한 자동화 설비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한 ‘One-Package’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시설원예

LG CNS가 제공하는 시설원예 스마트팜은 첨단 ICT 기술과 AI를 결합하여 온실 내 작물 재배 환경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IoT 센서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온도, 습도, 광량 등 작물 생육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합니다. 온실 운영 관리 시스템으로 설치된 각각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경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영상 장비를 이용해 생육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노지형 팜

LG CNS의 노지형 팜은 기존 논과 밭에 첨단 ICT와 AI 기술을 접목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인 스마트 농업 시스템입니다. IoT 센서와 드론 등을 활용해 토양 상태와 기상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여 최적의 재배 환경을 제공합니다. 노지형 팜 플랫폼은 데이터 수집부터 전처리, 저장, 분석, AI 예측 서비스까지 전 과정을 통합 관제하며, 모든 농작업에 대한 지능화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시티팜

시티팜은 도시민을 위한 디지털 파밍 서비스 및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커뮤니티 도입을 통한 소통을 강화하는 농업 솔루션입니다. 도심 내 지하철에 설치한 메트로팜, 도심에서 운영하는 도시 텃밭, 아파트 단지 내 입주한 단지 내 팜 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B2C 및 고객 환경을 고려한 인프라를 구성하여 B2C 트렌드나 수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환경, 쉽고 빠른 구축 및 확장이 쉬운 환경을 제공합니다.

FAQ
  • LG CNS의 스마트팜 솔루션은 클라우드, IoT, 데이터 연계, 빅데이터 및 AI 기반의 통합 플랫폼 등의 4차산업 핵심 첨단 기술이 모두 결합되어 운영됩니다. 이 솔루션은 재배 환경 상태부터 작물 생육 상태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전처리, 저장 및 분석하여 최적의 농업 환경을 조성합니다. 해당 기술의 결합으로 농작업 전 과정의 모니터링과 제어, 농작업 전주기의 자동화, 무인화를 위한 농작업 인력의 최소화 및 운영 비용 절감 등 스마트팜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자동화된 통합 운영 환경을 제공합니다.

  • LG CNS는 기존 노지 농업에도 적용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팜 플랫폼을 개발하여 전라남도 나주시의 약 54ha 규모의 노지 시범단지에 플랫폼을 구축하고 노지형 스마트팜 기술 적용 가능성을 실증하였습니다. 나주에서 LG CNS는 AI 및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플랫폼을 통해 토양 상태부터 기상 정보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농업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국내 농경지의 약 95%가 노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LG CNS의 노지형 스마트팜 솔루션은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없이도 노지에서 작물 생육 상태와 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농업 가이드를 제공하여 노지 농업에서도 생산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LG CNS는 스마트팜 솔루션 도입 후에도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 특히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격으로 시스템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함께 설치되는 스마트팜 설비(IoT 센서, 양액기, 공조기 등)와 같은 하드웨어의 유지보수 및 기술 지원도 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실제 사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고객사례
연암대학교-logo 연암대학교-logo
연암대학교
466평 규모 유리 온실, 비닐온실, 수직농장 및 시스템 구축
CJ 제일제당-logo CJ 제일제당-logo
CJ 제일제당
버티컬팜 자동 재배 설비 H/W 및 S/W 구축 및 실증
전라남도 농업기술원-logo 전라남도 농업기술원-logo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나주 시범단지에 DNA(데이터, 네트워크, AI) 기반의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 구축
팜한농-logo 팜한농-logo
팜한농
B2C 서비스 확장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서비스 구축
연관 자료
최상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