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바이두에 대한 9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깃허브에 이은 ‘기티(Gitee)’의 등장! 확장하는 오픈소스 생태 오픈소스 기술만큼 전 세계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고 개발하는 기술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픈소스 기술들은 어느 나라의 기술이라고 딱 잘라 표현하기 어려운데요. 대신에 오픈소스 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주요 서비스들은 깃허브처럼 미국 기업이 만든 경우가 많습니다. 오픈소스 생태계가 커지자 요즘은 미국 밖에서 비슷한 서비스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중국판 깃허브’라고 불리는 ‘기티(Gitee)’가 대표적입니다. 오늘은 ‘깃(Git)’을 둘러싼 중국 내 오픈소스 생태계를 살펴보겠습니다. 깃허브 정책 변화로 위기를 느낀 중국 깃허브가 2019년 발간한 오픈소스 트렌드...
- 블로그 창업의 나라 중국, 그리고 대한민국 중국의 공유 자전거 스타트업들이 정리가 되고 있습니다. 공유 자전거 전쟁이 끝나가는 신호라 할 수 있는데요. 이를 통해 미국 못지않게 치열한 중국의 스타트 업계를 엿보게 됩니다. 상해의 밤은 스타트업 사무실의 꺼지지 않는 불빛으로 화려합니다. 성장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중국 스타트업의 열정과 저력을 느낄 수 있는데요. 중국의 ‘비트코인 없는 블록체인’ 중국의 블록체인 정책은 한국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블록체인 스타트업은 블록체인의 핵심인 ‘코인’을 제외한 반쪽짜리 기술만을 이야기해야 하는데요. 그러나 어느 나라보다 중국에서는 많은...
- 블로그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을까?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연산 과정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 과정, 사고방식과 비교하면 매우 비효율 적입니다. 인간은 대부분의 경우 직관과 일반화를 통해 상황을 판단하고 매우 빠르고 즉각적으로 결정하는데요. 그 답이 반드시 정답이 아닐지라도 근사치에 가까운 답을 빠르게 찾아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3.14 * 3.14의 값을 정확히 계산하지 않아도 3*3의 결과인 9 보다 크다는 것을 인간은 즉시 알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인간처럼 계산하고 사고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도 구현된다면 데이터와 컴퓨팅의...
- 블로그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을까?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연산 과정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 과정, 사고방식과 비교하면 매우 비효율 적입니다. 인간은 대부분의 경우 직관과 일반화를 통해 상황을 판단하고 매우 빠르고 즉각적으로 결정하는데요. 그 답이 반드시 정답이 아닐지라도 근사치에 가까운 답을 빠르게 찾아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3.14 * 3.14의 값을 정확히 계산하지 않아도 3*3의 결과인 9 보다 크다는 것을 인간은 즉시 알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인간처럼 계산하고 사고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도 구현된다면 데이터와 컴퓨팅의...
- 블로그 텔레파시로 대화하고, 명령할 수 있을까? 오감을 사용하지 않고, 의사 전달하는 것을 ‘텔레파시(Telepathy)’라고 합니다. 텔레파시는 많은 미디어에서 초능력의 존재로 표현되었습니다. 인간의 의사 전달은 오감의 입력과 출력에서 발생하므로 침묵 속에서 소통하는 건 미지의 능력에 가까웠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텔레파시는 미래에 보편적인 컴퓨팅 인터페이스가 될 것입니다. 지난 4월 4일(현지 시간),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는 대학원생인 아르나브 카푸르(Arnav Kapur)가 개발한 ‘알터이고'(Alter Ego)’를 소개했습니다. 알터이고의 역할은 착용자의 머릿속에 있는 말을 읽는 것입니다. 귀와 턱을 연결한 헤드셋은 전극을 통해 얼굴의 신경근 신호를 포착하고, 이를 명령으로 전환합니다....
- 블로그 CES 2018, 인공지능 하드웨어가 중요해진다. 인공지능을 실제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클라우드에 접속하기도 하지만, 기기에서 직접 구현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전이 중요시되는 자동차에서는 기기 인공지능 이슈가 중요한 게 당연할지도 모르고요. 스마트폰이나 가전기기, 로봇에서도 기기에서 인공지능이 구현된다면, 훨씬 더 편리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CES 2018 전시장에서는 네트워크 문제로 인공지능 음성인식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여러 차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기기 AI, 즉 기기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GPU를 기반으로 임베디드 보드를 설계하거나, TPU(Tensor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 블로그 CES 2018을 통해 만나본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모습 1편부터 시작한 연재가 어느덧 마무리를 앞두고 있습니다. 연재 주제들을 논의하고 기고를 시작한 2017년 여름과 초가을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가 자고 일어나면 지속해서 확장되고 관심을 보일 때였습니다. 반년이 지난 현재 시점에서 봐도, 이제는 4차 산업혁명의 방향과 사례, 그리고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까?’의 단계를 넘어 다양한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현실화해 나가는 얘기들이 많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최근에는 블록체인, 가상화폐 등에서 엄청난 관심과 시도 및 견제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Entrue컨설팅 컨버전스전략그룹은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 블로그 CES 2018에서 만나본 인공지능(AI)의 모습은? 세계 가전 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도 인공지능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CES 2017에서는 기계가 파트너가 되는 인공지능의 비전이 제시되었는데요. 터치나 누르기 중심의 인터페이스에서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바뀌면서, 단지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계가 아니라 사용자의 파트너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CES 2018에서 인공지능 관련 기술의 더욱 진화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여러 제품으로 확대되고,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인공지능 하드웨어가 발전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이 글에서는 CES 2018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 블로그 2015년, 국내 IT 트렌드가 궁금하다! (1편) – ‘사물인터넷(IoT)’부터 ‘보안, 프라이버시’까지 – IDC에 따르면, 2015년 국내 IT 시장은 2013년 이래,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 서비스(3.5%), 소프트웨어(5.2%) 시장은 다소간의 회복세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요. 작년 한 해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라는 트렌드가 실리콘밸리뿐만 아니라 국내 IT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2015년 국내 IT 트렌드는 어떠할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15년, 국내 IT 트렌드 살펴보기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매주 발간되는 ‘최신 ICT 동향 보고서’를 분석해 본 결과, 가장 많이 언급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