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LG CNS 블로그에 대한 892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수경재배는 왜 기술 용어가 되었을까? 수경재배(Hydroponics)는 ‘흙 대신 영양소가 용해된 물을 이용해서 식물을 생장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낯선 용어는 아니지만 선호되는 개념도 아니었습니다. 세부적인 재배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가 쉽지 않으며, 병원균 오염의 속도도 빠른 등 여러 단점이 경작에 비해서 큰 이점을 보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급격한 인구 증가와 농지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의 감소로 수경재배는 식량 확보를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이면 세계...
- 블로그 기업의 프로세스는 SCM과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수없이 많은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언제 잠에서 깨서 기상할지, 매일 무엇을 하고 시간을 보낼지, 식사는 언제 어디서 혼자? 아니면 누구와 무엇을 먹을지, 교통수단은 지하철, 버스, 택시, 자전거, 걸어서 무엇으로 할지 등등 어떻게 보면 기상하는 시점부터 잠자리에 들기까지 순간마다 의식적이든 습관적이든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사결정은 대부분 행동으로 연결되고, 행동은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의사결정을 할 시점에 기대했던 예상이 실제 결과와 차이가 크게 발생하기도 하고,...
- 블로그 간결하고 명확한 비즈니스 문서를 만들기 위한 스케치 노트 이번 글은 메모 노트만큼 자주 사용하는 스케치 노트라는 직무 노트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스케치 노트란 무엇인가? 필자는 ‘신사업 개발’이라는 업무를 맡고 있으며 ‘팀장’ 직책을 맡고 있다 보니 전체 업무 중 30% 정도는 비즈니스 문서를 만듭니다. 비즈니스 문서의 유형도 다양하죠. 고객사에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제안서나 상품 소개서, 연초 또는 연말에 조직 개편이 이뤄질 경우 사업보고서, 신사업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신사업 계획서, 그리고 외부 AI 콘퍼런스에서 발표할 강연 자료까지.. 매우 다양하면서도...
- 블로그 차량 공유 업계, 데이터를 공유하다 모빌리티(Mobility) 시장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사전적으로 ‘이동성’이란 뜻을 가지고 있지만 최근 IT 업계에선 우버, 리프트, 타다, 카카오택시처럼 교통 및 이동수단 관련 서비스 산업을 지칭할 때 이 단어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시장 이름을 따로 명명한 것은 그만큼 업계 파급력이 크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모빌리티 기업들의 인수합병 및 투자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1. 그런 와중에 해외 모빌리티 업계에선 요즘 ‘데이터’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 모빌리티 기업들은 데이터 공유에 소극적이었는데요. 2018년부터 주류 모빌리티 기업들이 대규모 용량의 데이터를...
- 블로그 범용 인공지능 시대, 인류는 디스토피아를 피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AI)은 항상 우리에게 논란의 대상입니다. 우리 앞에 닥친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열쇠가 될 수 있는 희망이면서, 동시에 지구를 파멸의 길로 이끌지도 모른다는 공포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미국 정보통신(IT) 업계에서 AI 비관론과 낙관론의 대척점에 서 있는 두 인물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미국 최대의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의 창업자 엘론 머스크와 페이스북 최고경영자 마크 저커버그입니다. 기술업계의 거물로 통하는 두 사람이 상반된 시각을 갖고 있다는 게 세상에 알려진 것은 2014년입니다. 당시 저커버그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 블로그 보안은 개발부터!! 데브섹옵스(DevSecOps) 2012년 말 가트너는 “DevOpsSec: Creating the Agile Triangle.”라는 문서를 통해 기존의 DevOps보다 발전된 새로운 DevSecOps라는 개념을 시장에 소개했습니다. 가트너에서는 이후에도 2016년 “DevSecOps: How to Seamlessly Integrate Security Into DevOps”, 2017년 “Gartner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18” 등의 문서로 DevSecOps의 중요성을 계속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트너는 DevSecOps를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명명하고 2021년까지 Rapid Development Team 중 80%가 DevSecOps를 활용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실제로 DevSecOps를 시행한 조직은 인상적인 결과를...
- 블로그 LG CNS 2019년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LG CNS는 지난 30년 동안 대한민국을 대표해 온 IT 서비스 전문기업입니다. 제조•금융•공공•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문성과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에게 컨설팅, 시스템 구축•운영, 아웃소싱 등의 토털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IT 신기술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LG CNS에서는 아래와 같이 2019년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지원 방법 및 문의처 LG그룹 채용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접수(http://careers.lg.com)만...
- 블로그 누구나 알아야 할 회계 지식 ② 지난 ‘회계 지식 1’에서는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 그리고 재무회계에서 재무 상태 표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혹시, 지난 편을 읽지 않으신 분들이나 기억이 가물가물하신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습니다. 우선 재무회계는 투자자, 주주와 같은 외부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회계 기준이 존재해 모든 회사가 동일한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합니다. 재무 상태 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이 대표적입니다. 반면, 관리회계는 기업 경영을 목적으로 내부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개별 회사마다 기준을 가지고 관리를 하게...
- 블로그 국제 표준으로 보는 자율주행 통신과 소프트웨어의 진화 국제 표준화 기구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비롯한 여러 표준화 기구에서는 자율주행 진화를 위한 다양한 표준들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통신이나 소프트웨어 플랫폼 구조에서도 자율주행 진화를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엿볼 수 있는데요. 자율주행차 플랫폼 구조, 자율주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통신을 통한 자율주행 정밀도 향상, 자율주행 클라우드 및 관련 서비스, 자율주행을 위한 보안 서비스 등 다양한 방향의 진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동안 살펴보았던 자율주행을 위한 통신 및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표준들을 정리해...
- 블로그 [이벤트] LG CNS Fun IT Quiz 8월 LG CNS Fun IT Quiz 이벤트 LG CNS 블로그에 소개된 콘텐츠 내용으로 매 월 진행되는 Fun IT Quiz! 8월은 ‘빈칸 채우기’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아래 문제를 보고 빈칸의 정답을 아래 배너를 클릭하고 남겨주세요. 참여해주시는 분 중 추첨을 통해 푸짐한 상품을 드립니다. 힌트 보기를 활용하시면 쉽게 정답을 맞힐 수 있습니다. 문제 및 힌트 보기 문제 1번 OOOO은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디지털 인증, 디지털 커뮤니티 화폐, 디지털 공급망 관리 등 3대 핵심 서비스를...
- 블로그 LG CNS AI Tech Talk for NLU DAY 참석 안내 [신청 마감] 독자 여러분의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행사 신청이 마감되었습니다. 참여 대상자분에게는 개별 안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G CNS에서 진행되는 LG CNS AI Tech Talk 행사에 블로그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LG CNS AI Tech Talk for NLU DAY(feat.KorQuAD) – 일시: 9월 5일(목) 13:00 ~ 18:30 – 장소: 강서구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 E9 지하 1층 Frontier Hall – 신청 마감:8월 29일(목) 까지 ※ 당첨되신 분들에게는 개별 연락 드릴 예정입니다.
- 블로그 문제 해결 역량을 높여주는 1,000가지 아이디어 노트 아이디어를 연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유레카’일 것입니다. 아르키메데스가 목욕하다가 밀도를 측정하는 원리를 깨우치면서 외치게 된 ‘유레카(알아냈다)’. 워낙 유명한 이야기여서 이 단어의 의미나 상황을 더 설명할 필요는 없겠죠. 필자가 여기서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바로 아르키메데스의 ‘목표 지향적인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목표 지향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높여라! 사람들은 흔히 아이디어를 우연히 떠오르는 영감으로 생각합니다. 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거나, 아르키메데스가 목욕탕 물이 넘치는 것을 보고 밀도의 법칙을 깨우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