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의 일이지만, 지금도 경영대학원(MBA) PM(Project Management) 수업에서 교수님이 침을 튀기며 수십 차례 강조하시던 장면이 생생하게 떠오릅니다. 교수님은 프로젝트 관리의 기본은 ①기획(Plan) → ②실행(Do) → ③점검(Check) → ④개선(Act)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과정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하셨습니다.
PDCA 사이클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의 모든 인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관리 시스템 체계이기도 합니다. 특히 기업에게 4/4분기는 1~3분기의 성과를 점검(Check)하고 개선(Act) 과제를 도출하여 내년 계획을 세우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오늘은 이 PDCA 사이클 가운데 ‘점검’에 초점을 맞추어 성과평가 방법론을 소개하고, 특별히 지속가능경영(ESG)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기업에서 흔히 말하는 ‘성과’는 단순히 ‘목표 대비 달성률’로 설명되곤 합니다. 그러나 성과에는 여러 단계와 종류가 있으며, 성과를 잘 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추구하는 성과의 단계와 종류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의 단계와 종류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대표적인 모델이 미국 캘로그재단(W.K. Kellogg Foundation)이 개발한 로직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전 세계적으로 영리기업과 비영리단체를 막론하고 가장 널리 활용되는 성과 관리 및 평가 모델입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비영리영역에서는 로직모델을 ‘변화관리모델’이라고 번역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캘로그재단은 학술연구사업, 과학기술개발사업, 장학사업, 지역복지사업, 최빈국 원조사업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매년 수행합니다. 이때 해당 사업을 지속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체계로 1990년대 후반에 로직모델을 만들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고도화해왔습니다. 그리고 이 모델이 영리기업의 비즈니스 성과 평가에도 유용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미국은 물론 전 세계 많은 기업들이 PDCA 사이클 운영과 결합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캘로그 로직모델은 성과 창출 과정을 다음과 같이 5단계로 설명합니다.
그렇다면 성과 창출의 5단계를 기준으로 한 ESG 경영의 성과 관리, 즉 점검과 개선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의 점검(Check)과 개선(Act)은 결과 단계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기획부터 변화에 이르는 6단계 전 과정이 평가 대상입니다. 이는 성과 창출 5단계에 기획 단계를 추가한 것입니다.
성과 점검과 개선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해관계자의 적극적인 참여입니다. 협력사의 현황을 파악하지 않고 사전 미팅도 없이 인터넷 검색과 AI 정보만으로 협력사의 ESG 경영 도입이나 고도화 프로젝트를 기획한다면 성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ESG 실행의 모든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필요를 반영하는 것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 경영’을 실천하는 출발점이 됩니다. 따라서 교육이든 실사든 협력사의 의견을 묻고, 목적에 부합한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의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보면 많은 경우 성과를 로직모델의 1단계(자원/투입)와 2단계(활동) 수준에서만 제시합니다. 즉, 교육과 실사 횟수나 참여 인원 같은 ‘양적 지표·데이터’가 대부분입니다. ESG 경영이 강조된 지 오래되지 않았기에 초기에는 불가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이제는 산출물(Outputs), 성과(Outcomes), 변화(Impact) 단계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지속가능경영을 실행하면서 정량적 산출물만 점검하는 성과 평가는 비교적 쉽습니다. 그러나 그 산출물만으로는 지속가능경영이 우리 회사의 경영 철학과 목적, 전략, 비즈니스 모델과 가치사슬, 운영, 상품과 서비스에 제대로 내재화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ESG 경영의 정량적 성과를 단순 산출(Output) 데이터로 관리하는 것을 넘어 성과(Outcome) 지표로 관리해야 합니다. ESG 경영의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기존 활동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라는 엑셀 수작업을 단순히 시스템으로 옮기는 것을 넘어 데이터를 연결하고 지표화하며, 의도한 성과 목표 대비 달성률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단순히 공시 대응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여러 단계에 걸친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성과 점검과 평가는 결코 쉽지 않습니다. 많은 시도와 노력, 시행착오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발전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경제적 성과뿐 아니라 환경, 사회, 인권 측면에서도 더 나은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ESG 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성과 점검과 평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한 이를 지원하는 디지털 도구의 적절한 활용은 지표와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신뢰성과 업무 생산성 제고를 가져다주며, 여러분이 보다 본질적인 ESG 경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추석 연휴가 지나고 본격적으로 내년 농사 준비에 들어가실 텐데요. PDCA라는 성과 창출 및 관리 프레임의 관점에서 우리 회사의 ESG 경영 업무는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점검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혹시 계획(Plan) 없는 실행(Action), 목표(Goal) 없는 데이터(Data)의 나열만 하고 있지는 않았는지요?
“준비(계획)에 실패하는 것은 실패를 준비(계획)하는 것이다.” 벤자민 프랭클린의 말로 이번 뉴스레터를 마칩니다.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 받는 저작물로 LG CNS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
LG CNS ESG Every IT Thing ❤️
ESG 뉴스레터 ‘ESG 에브릿띵'과 함께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의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LG CNS ESG Every IT Thing ❤️
ESG 뉴스레터 ‘ESG 에브릿띵'과 함께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의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기업명을 두 글자 이상 입력해주세요.
소식을 받아 보시려면 마케팅 정보 활용과 마케팅 정보 수신에 모두 동의해 주셔야 합니다.
제출이 완료되었습니다.
제출이 완료되었습니다.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자사 홈페이지 홈화면으로 이동됩니다.
요청하신 자료가 이메일로 발송되었습니다.
구독 설정이 저장되었습니다.
잘못된 접근입니다.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다시 시도해 주세요.
검색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다시 시도해주세요.
제출에 실패하였습니다.
다시 시도해주세요.
사업자등록번호는 10자리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