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하기

Assets

인사이트
AI 시대의 필수, 데이터센터: 2025년 주목해야 할 주요 전망은?
# AI
# Modern IT Infra on Cloud
# Cloud
# 데이터센터
# 공통
뉴스레터 · 

편집장의 Comments 👀


우리가 매일 시청하는 유튜브, OTT 서비스, 소셜 미디어(SNS) 등 일상에서 아무렇지 않게 활용하는 디지털 활동이 어떻게 가능한 일인지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다양한 요소가 존재하겠지만, 그중에서도 데이터는 디지털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읽고 있는 뉴스레터 역시 데이터가 있기에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데이터는 비즈니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날 디지털 혁신을 위한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에는 더욱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는 일상생활과 비즈니스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눈에 보이진 않지만 일반 사용자들이 생각지도 못한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Spherical Insights & Consulting이 발행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32년까지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은 2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1) 이와 관련해 오늘 에브릿띵에서는 데이터센터의 중요성과 2025년 주요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의 에브릿띵 정리

 

  • AI 기술의 확산으로 데이터 처리와 저장 수요가 크게 늘면서 데이터센터가 새롭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고성능 인프라의 도입으로 효율적인 전력 관리와 냉각 기술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 2025년 데이터센터는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함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AI를 활용하면서 발생하는 전력 과소비 등 환경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최근 빅테크 기업들이 경제적, 지리적 측면 등 다양한 장점으로 데이터센터 구축이 용이한 동남아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LG 그룹 또한 One LG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이며 동남아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AI 산업의 발전으로 변화하는 데이터센터와 해결해야 할 과제 🔑

 

2025년 전망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데이터센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핵심 시설로, 디지털 시대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2007년 애플의 아이폰 출시 이후 데이터 활용을 요구하는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기업이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 활용하면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센터는 그 역할과 규모가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AI의 급성장으로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한 층 높아지고 있습니다. AI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한데, 이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가 필수 인프라로 떠오른 것입니다.

AI를 위한 데이터센터는 기존 데이터센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고성능 컴퓨터 처리 기술의 필요성이 대폭 증가했다는 점입니다.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CPU와 GPU, 그리고 대용량 메모리가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에도 더욱 고성능의 인프라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에 고성능 인프라가 요구되면서 다양한 과제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10년간 PC의 발전 사례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C는 고성능의 하드웨어가 적용됨에 따라 발생하는 과도한 전력 소비와 열 문제를 해결할 솔루션이 적용되었습니다. 데이터센터 또한 AI 기술을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의 인프라가 필요해지면서 PC의 발전 사례처럼 효율적인 전력 관리와 냉각 기술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2025년 데이터센터의 주요 전망: AI와 지속가능성 중심으로 📑

 

AI 산업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센터에 다양한 변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2025년에는 데이터센터에 어떤 주요 내용들이 전망되고 있을까요? 많은 기관에서는 당연하게도 AI 기술로 변화될 데이터센터를 고려하여 2025년의 주요 전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매년 데이터센터 관련 인사이트를 취합해 시장 동향을 예측해 온 Vertiv의 경우 일찍이 AI의 확산과 이를 뒷받침할 액체 및 공기 냉각 전략의 필요성을 예측한 바 있습니다.2) 이어서 Vertiv는 2025년 데이터센터 동향 보고서를 통해 ‘2025년에는 액체 및 공기 냉각의 필요성이 더욱 가속화되고 진화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에너지 가용성이 데이터센터의 우선임을 언급했습니다.3) 또한 Market Research Intellect는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의 원인을 이야기하며, 원활한 운영을 위해 데이터센터에도 자체적으로 AI와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4) 다양한 기관에서 제시하는 데이터센터의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2025년의 주요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데이터센터가 AI 중심으로 진화하면서 2025년에는 컴퓨팅 기술들의 작업 부하가 더욱 가중될 전망입니다. AI 모델의 원활한 작동에 필수인 고성능 하드웨어는 대량의 전력을 소모합니다. Wood Mackenzie의 유럽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보고서에 따르면 AI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2030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가 세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5) 이에 따라, 고성능 하드웨어가 탑재된 데이터센터에서 소비되는 과도한 전력 문제를 해결할 솔루션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그리드와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와 같은 다양한 솔루션이 제시 및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산형 전력 공급 시스템은 전력 의존도를 낮추고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데 이바지할 것입니다.
더불어 과도한 전력 소비로 발생하는 상당한 열을 효과적으로 식혀줄 냉각 기술도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데이터센터의 과열은 데이터 손상과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소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센터 운영에서 액체 냉각 및 공기 냉각과 같은 첨단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두 번째로는 AI의 확산이 데이터센터의 보안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도 우려되면서 AI 보안 기술의 개발이 2025년의 주요 전망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은 점점 정교해지고, 그 범위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보안 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은 제어 시스템, 내장 장치 또는 연결된 하드웨어와 인프라 시스템에서 일어나는데, 이러한 시스템들은 다른 네트워크 구성 요소와 동일한 보안 요건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아무리 보안이 복잡한 데이터센터라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AI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AI 기술의 도입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AI는 로드 밸런싱, 데이터 라우팅, 예측 유치 관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가동 중지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AI는 인프라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 조치를 취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화 및 AI 통합은 데이터센터의 확장 속도를 가속화하고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하며, 운영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데이터센터의 주요 전망을 미루어 보았을 때, 향후 데이터센터는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함께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 나아가 AI 활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다양한 노력도 필요할 것입니다.

 


주목받는 동남아 데이터센터 시장, 그 이유는? 🤔

 

한편, 많은 빅테크 기업이 동남아에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동남아가 높은 생성형 AI 사용률과 빠른 경제 성장률을 보이면서 차세대 AI 허브로 주목받게 된 것인데요. Research and Market에서 발간한 ‘동남아시아 데이터센터 시장 환경 2024~2028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 데이터센터 시장은 2022년 96억 8천만 달러에서 2028년까지 141억 9천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6) 이는 약 40%에 달하는 성장 수치입니다.

특히 많은 동남아 국가 중에서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가 맞닿아 있는 시조리 삼각지대가 데이터센터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히 생성형 AI 사용률과 경제 성장률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존재합니다.

우선 저렴한 물가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구축에는 넓은 토지와 풍부한 물, 그리고 전기가 필요합니다. 심지어 AI의 등장으로 더 많은 전력과 물을 소비하여 데이터센터 운영에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동남아의 경우 이러한 요소를 비교적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 측면으로 보았을 때, 데이터센터 구축에 용이합니다.

또한 시조리 삼각지대의 경우 지리적 강점도 존재합니다. 시조리 삼각지대는 동남아 중심에 자리 잡고 있어 국가 간 비즈니스 허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자연재해 발생이 타 국가 대비 적어 안전한 데이터센터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시아재해경감센터(Asian Disaster Reduction Center, ADRC)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경우 대체로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국가로 손꼽히는 국가입니다. 더하여 재해와 같이 비상사태에 대한 대응 체제가 잘 정비되어 있어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아 원활한 데이터센터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장점들을 기반으로 많은 빅테크 기업은 동남아 데이터센터 시장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구글은 지난 5월 20억 달러(한화 약 2조 7천600억 원) 규모의 말레이시아 데이터센터·클라우드 투자 계획을 공개했으며, 같은 달 마이크로소프트(MS) 또한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아마존은 싱가포르 클라우드 인프라에 88억 7천만 달러(한화 약 12조 2천 30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히며 세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최근에는 LG 그룹 또한 LG CNS,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하여 만든 One LG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추진하여 동남아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One LG 데이터센터는 각 3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인 LG전자의 에너지 절감 냉방 기술, LG에너지솔루션의 안정적인 베터리 시스템, LG CNS의 설계·구축·운영 기술을 합쳐 Total Life Cycle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5년은 AI의 발전으로 데이터센터 시장에 큰 변화가 이뤄지는 한 해가 될 것입니다. 비즈니스에서 AI가 보편화되는 상황 속에서 기업이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구축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1) Spherical Insights & Consulting <Global Data Center Market, Forecast to 2033>
2) Vertiv <2024 Data Center Trends, Artificial Intelligence, Sustainability at Forefront As Industry Turns Attention to 2024 中>
3) Vertiv <2024 Date Center Trends, Data Center Trends 2025: Vertiv Predicts Industry Efforts to Support, Enable, Leverage and Regulate AI 中>
4) Market Research Intellect <데이터 중심 세상: 고급 데이터 센터에 대한 수요 증가 中>
5) Wood Mackenzie, <Gas fuels Asia’s data centre boom Report>
6) Research and Market <Data Center Market in Southeast Asia 2024-2028>
최상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