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하기

Biz Process Intelligence

ESG
ESG

ESG는 기업 경영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척도로, 기업 전략부터 사업 방향성의 전환까지 본질적인 변화를 끌어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가별, 산업별 규제가 점차 고도화되고 있으며, 이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글로벌 기업 사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나라 기업도 ESG 현황 진단을 시작으로, 중장기적으로 ESG를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ESG 경영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서 기업이 준비할 사항으로는, 시스템 기반의 ESG 데이터 관리, 이사회 평가 및 감독 강화, ESG 요소를 반영한 제품과 서비스 개발, 전사적 ESG 참여율 확대 등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LG CNS는 고객의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ESG 경영 도입과 내재화를 위해 로드맵 수립에서부터 ESG 이행 체계 구축, 모니터링을 위한 IT 솔루션 도입 및 운영 지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규제와 환경 속에서 고객 맞춤형 ESG 컨설팅 서비스 제공
ESG 공시 의무화

ESG 공시는 글로벌 자산운용사와 각 국가의 정보 공개 요구로 인하여 의무 공시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국내 기업은 점차 구체화하고 있는 의무 공시 기준에 준비하고, ESG 외부 평가와 내부 과제 관리를 위한 KPI 등을 고려하여 앞으로 어떤 지표로 ESG 경영 현황을 관리하고 외부에 공개할지를 정의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ESG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어, 기준에 따라 관리해야 할 지표가 1,000개 이상인 경우도 있으므로, 시스템을 통해 체계적인 ESG 지표 관리가 권장됩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

온실가스 배출량은 정부 규제 대응을 넘어서 글로벌 고객도 더욱 고도화된 탄소중립 계획 및 이행 현황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추세입니다. 국내 주요 기업은 203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으며, 2040년 혹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기업 중 2030년 중간목표를 함께 선언한 기업도 다수입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2030년까지 몇 년 남지 않은 점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 기업들도 신뢰도 확보를 위해 목표를 업데이트하거나 향후 5개년 탄소 감축 투자 계획을 현실화하여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향후 의무 공시에 대해 준비하는 차원에서 기후 관련 재무 정보 공개 태스크포스(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CFD) 프레임워크를 기준으로 기후변화의 영향과 기회를 구체적인 전략 수립과 데이터 관리를 통해 공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급망 ESG 리스크

2024년 공급망 실사 지침인 EU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지침(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 CSDDD)이 공식적으로 발효되면서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EU 역내/외 기업에 공급망 내 인권과 환경 분야에 대한 모니터링, 리스크 예방 및 완화와 결과 공시가 차례대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미준수 기업에는 전 세계 매출액 최대 5%의 벌금이 부과될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 국내 대기업만이 아니라 공급망에 포함된 중소기업도 계약 유지를 위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Scope 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측면에서도 공급망 관리는 필수적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orea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 KSSB)는 Scope 3 배출량 공시를 언급하고 있으며, 기존에 SBTi 목표를 수립한 기업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Scope 3를 포함한 고도화된 감축 목표 수립이 필요합니다.    

LG CNS ESG 컨설팅 서비스

ESG 전략 및 관리 체계

고객 맞춤형 ESG 경영 실천을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 요구 사항과 선진 및 경쟁사 벤치마킹 분석을 기반으로 ESG 진단 항목을 분석, 영역별 주요 개선 사항을 도출합니다.

전사 ESG 전략 체계 수립을 위해 비전과 연계된 ESG 목표를 수립하고, 기존 운영 체계와의 정합성 강화를 위해 ESG 위원회, 평가 및 공시 대응을 포함한 전반적인 일정과 R&R을 점검하고 수립합니다. 또한, 구축한 ESG 로드맵을 중장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부서별 ESG 지표 및 과제 모니터링 체계를 수립하여 ESG 선두 주자가 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ESG 공시 및 평가 대응

GRI, ISSB, ESRS 등 다양한 정보 공개 기준에 부합하는 ESG 성과 공시를 지원하고 있으며, 고객과 산업별 맞춤형 지표 관리 체계 구축을 통해 EU,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관련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 의무 및 자발적 공시 기준과 내, 외부 평가 기준을 분석하고, 데이터별 정의, 형식, 관리 부서, 출처, 집계 주기를 정의하여 체계적인 지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에 엑셀로 관리하던 데이터를 하나의 창구를 통해 모으고 관리하는 단일 지표 관리 시스템을 도입합니다.

기후변화 대응 전략

탄소중립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이 고도화되고 있는바, 탄소중립 전략 수립부터 TCFD 보고서 작성 및 제품 탄소발자국 측정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합니다. 구체적으로, 탄소중립 전략 수립 및 점검을 위해 현황 진단부터 배출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산출, 실천 계획 및 로드맵 수립을 지원하며, TCFD 공시를 위해 전환 및 물리적 리스크를 재무적으로 정량 평가하여 재무적 영향을 산출합니다. 또한, 조직 경계 설정과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과제 모니터링을 통해 고도화된 온실가스 배출 관리 체계를 수립하며, 제품 탄소발자국 산출 체계를 구축하여 다양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

EU 공급망 실사법 대응 및 온실가스 Scope 3 배출 관리를 위한 공급망 ESG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해 일반 및 업종 특화된 공급망 ESG, 인권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하며, 전체 협력사 규모, 업종 분포, 지역적 특성 등을 고려한 로드맵을 수립합니다. 이를 위해 평가 기준 및 운영 방침 정의부터 공급망 자가 진단(Self-Assessment Questionnaire, SAQ), 개선 목표 정의, 개선 활동 모니터링까지 구축의 모든 과정을 지원하며, 협력사 ESG 리스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IT 시스템 도입도 고려하여 협력사를 포함한 비즈니스 밸류 체인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높입니다.

고객사례
LG 생활건강-logo LG 생활건강-logo
LG 생활건강
TCFD 재무 영향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Biz Process Intelligence
# ESG
# 제조
COSMAX-logo COSMAX-logo
COSMAX
탄소중립 전략/LCA 체계 수립/재무 영향 분석
# Biz Process Intelligence
# ESG
# 제조
HMM-logo HMM-logo
HMM
기후 공시 및 재무 영향분석
# Biz Process Intelligence
# ESG
# 제조
연관 자료
데이터 기반의 ESG 경영 완성을 위한 최적의 플랫폼
ESG 경영관리 플랫폼에 주목하는 이유

기업이 ESG 경영관리 플랫폼에 주목하는 이유는 강화되는 ESG 공시 규제와 방대한 데이터 관리에 있습니다. 공시 의무화의 조짐은 유럽을 시작으로 국내에도 그 영향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미 유럽과 미국은 대기업 중심으로 공시 의무화를 시작했고, 국내도 향후 2~3년 내에는 시작되리라 예상합니다. 또한, 지속 가능성 책무가 기업에 부과되기 시작하면서 데이터 관리 체계와 IT시스템의 중요성은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일례로 제품 생산과정이나 기업 비즈니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 등을 일일이 기록하고 관리해야 하기에 그 속도와 규모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들은 ESG 데이터 확보의 한계와 복잡한 대응 체계를 비교적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ESG 경영관리 플랫폼에 주목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규제와 기준에 대응하기 위한 ESG 경영관리플랫폼은 ‘왜’가 아니라 ‘어떻게’의 문제입니다.

ESG 경영관리 플랫폼 차이점

대다수의 기업에서 ESG 경영관리 플랫폼 도입을 고려하는 움직임은 지속 가능한 미래 실현을 위한 긍정적인 신호임은 틀림없습니다. 그런데 플랫폼을 도입하기 전, 기업이 꼭 알아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ESG 경영관리 플랫폼이라고 해서 모두 동일한 특성과 기능을 가진 플랫폼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한 가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바다를 항해하는 선장이라면 자신의 배를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끌기 위해 해도의 풍향, 해류, 날씨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기업이 ESG 경영관리 플랫폼을 선택할 때도 여러 중요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항해에 비유해 설명하자면, ESG 경영관리 플랫폼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항해 지도와 같습니다. ESG 경영관리 플랫폼이라는 지도를 통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모든 항해 지도가 동일하지 않은 것처럼 플랫폼 또한 각기 다른 특성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기업은 수많은 ESG 경영관리 플랫폼 중에서 가장 적합한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기업에 적절한 플랫폼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요?

‘지표 확장성’과 ‘데이터 신뢰성’

ESG 경영관리 플랫폼 선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지표 확장성’입니다. 지표 확장성은 플랫폼이 시장 트렌드나 투자자의 관심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지금 당장 공시기준에 대응할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면 급변하는 글로벌 ESG 공시 규제에 대응하기 어려운 현실입니다. 이에 따라 기업이 명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표 확장성을 갖춘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플랫폼 선택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 신뢰성’을 보장하느냐입니다. 플랫폼에 입력된 데이터의 휴먼 에러를 검증하는지, 내부 통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통계 기반 검증 등을 통해 시스템 기반 데이터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SG 경영은 ‘데이터 기반’의 전략 수립과 의사결정을 충분히 지원하는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신뢰성 제고가 필수적입니다. 아직 많은 기업이 ESG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이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기존 레거시 시스템 정비와 함께 산출 결과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LG CNS가 제공하는 ESG DX 경영플랫폼

LG CNS는 ESG 포탈부터 ESG 성과와 공시 대응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기반의 ESG 경영을 위한 종합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ESG 관련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여, 리스크 관리와 평가/공시 작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ESG 평가 및 공시 관리가 가능합니다.

ESG DX Journey with LG CNS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춘 ESG DX 경영 기반 마련

  • 지표관리부터 공시보고까지 엔드 투 엔드(End-to-End) 데이터 통합 측정과 관리
  • 내·외부 다양한 데이터 연계를 고려한 확장성·유연성 높은 설계

LG 그룹 계열사 컨설팅/구축/운영 노하우 적용

  • 다년간의 LG그룹 운영 경험 기반의 노하우 축적 및 내재화
  • 다양한 산업군의 계열사 대상으로 산업별 최적화된 검증된 시스템

지속적인 진화 발전이 가능한 플랫폼

  • 적용범위 확대 및 지표 확장 등 범위 확장이 용이한 플랫폼
  • 기능 고도화를 통한 전략적 의사결정과 데이터 신뢰성 향상으로 ESG Intelligence 구현
더 안전한 내일을 여는 디지털 안전 환경
글로벌 디지털 안전 환경 전환

글로벌 제조 산업을 중심으로 환경안전(Safety, Health, Environment, SHE) 분야에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선도 기업은 SHE 분야에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을 접목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본질적인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SHE 자원 관리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정유/가스 및 화학 업종의 투자가 월등하게 높은데, 해당 업종은 유동성, 인화성, 화학 물질 등을 취급하며, 사고 발생 시 작업자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기업은 근로자 안전, 공정 안전, 지속가능경영, 산업보건 분야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으며 DX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국내 안전 환경 정책 동향 및 디지털 안전 환경 필요성

국내에서는 법규 준수 목적으로 SHE를 관리하는 경향이 있어 ESG 경영의 핵심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산업안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제조업 중심의 안전보건 체계를 넘어 산업보건 영역의 확대, 통합환경 관리 및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실현까지 요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SHE의 전략적 고도화와 디지털 기반 안전 환경 구축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LG CNS가 제공하는 디지털 안전 환경
디지털 안전 환경 성숙도 진단

조직의 안전 환경 수준은 거버넌스(Governance), 기술(Technology), 프로세스(Process) 조직(People)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진단합니다. 현재 상태 및 목표 수준을 비교 분석해 안전 환경 경영이 얼마나 디지털화되어 있는지를 진단하고 이를 통해 향후 개선 방향을 우선순위 기반의 단계별 로드맵으로 제시해 드립니다.

디지털 안전 환경 컨설팅

LG CNS는 'LG CNS 안전환경 표준 프로세스'와 고객사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화 전략 및 방향성 수립, 구축 우선순위 설정, 로드맵과 개선 과제 도출 등의 맞춤형 디지털 환경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 LG CNS 안전환경 표준 프로세스(LG 그룹 및 외부 안전환경 영역의 프로세스 참고): 5개 프로세스 체인, 20개 프로세스 그룹, 64개 프로세스, 189개 활동 

디지털 안전 환경 시스템 구축 및 운영

LG CNS는 안전, 보건, 환경, 화학물질, 법규 대응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정보화, 자동화, 지능화 관점의 DX 기술을 접목한 시스템 구축에서 운영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전사, 사업장, 협력사별 안전 및 환경 관리를 통합할 수 있고 데이터 생성 및 수집, 유관 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기능은 LG CNS 안전 환경 포털 솔루션을 통해 제공합니다.

안전 환경 DX 서비스

LG CNS는 다양한 DX 기술을 접목하여 비용 절감, 업무 혁신, 자산 효율화를 실현합니다. AI와 최적화 알고리즘 기반 지능형 안전/에너지/설비 운영,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를 통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수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예측 분석을 통해 사전 위험 감지 및 예방 조치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VR/AR 기반의 교육과 자동화된 규제 준수 관리로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LG CNS가 제공하는 디지털 안전 환경
SHE Portal 솔루션

LG CNS SHE Portal 솔루션은 환경 안전 또는 안전 환경으로 불리는 SHE 영역에 특화된 솔루션으로 LG그룹의 검증된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설계된 선도적 안전 환경 플랫폼입니다. 해당 솔루션은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위험 요소의 사전적 관리를 통한 안전 및 보건 사고 예방, 협력사 안전보건 관리 강화를 통해 협력사별 점검 현황 및 개선 현황의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LG그룹의 노하우가 집약된 솔루션을 통해 더 나은 내일이 보장되는 안전 환경이 산업 현장의 무재해를 넘어 문화로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컴플라이언스 대응

위험성 평가, 안전 작업허가 등
필수 기능 제공

내/외부 시스템 연동 용이

내부의 설비 관리, 구매, 화학 물질 관리 시스템과 외부의 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SEMS), 폐기물관리시스템(All baro) 등 연계 용이

직관적 UI/UX 제공

캘린더를 통해 규제, 점검, 업무 목록 등 업무 통합 관리 

FAQ
  • 전통적인 안전 환경은 수작업 중심의 데이터 수집, 과 종이 문서 기반의 보고와 의사소통, 정기적인 점검과 사후 대응 중심의 운영 방식을 사용합니다. 반면, 디지털 안전 환경은 IoT 센서와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할 수 있으며,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의사소통과 자동화된 보고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안전 환경은 실시간 모니터링과 예측 분석을 통해 사전 위험 감지 및 예방 조치를 강화하고, VR/AR 기반의 교육과 자동화된 규제 준수 관리로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실현합니다.

  • 디지털 안전 환경 도입을 검토할 때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LG CNS는 3단계 접근 방식을 제안합니다. 먼저, 현재 조직의 안전 환경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안전 환경 성숙도 진단'을 실시하여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 영역을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이후, 디지털 안전 환경 도입 전략을 수립하는 '컨설팅'을 진행해 표준 프로세스 확인, 목표 설정, 기술 선택, 예산 계획 등을 포함한 맞춤형 도입 방안을 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AI, 최적화, IoT 센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데이터 분석 도구 등 DX 기술을 통합한 '디지털 안전 환경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유지 관리를 지원합니다.

  • LG CNS는 구축형과 더불어 구독형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독형 서비스는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고, 필요한 기능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조직의 필요와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독형 서비스는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유지보수가 포함되어 있어 최신 기술을 항상 활용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제와 감지, 그리고 대응체계로 구현하는 안전한 스마트팩토리
사업장 안전에 대한 인식 변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안전 관련 법률의 강화는 기업의 안전 관리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경영진과 기업 전체의 안전 책임 의식이 높아지면서, 단순한 사후 대응이 아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과 절차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중대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평가 및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예방 중심 안전 관리 문화가 점차 자리 잡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통합관제 서비스 적용을 위한 고려 사항

통합관제 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해서는 우선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명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방향성과 범위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만큼 데이터 암호화, 접근 제어, 침입 탐지 시스템 등을 통해 정보 보안 체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자동화된 관제 시스템으로 위험 요소의 관리 공백을 줄이고, 구성원 대상 학습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 기술을 활용하여 비상 상황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체계 구성이 필요합니다. 또한 구성원의 안전 교육과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유사 상황 발생에 대처가 필요합니다. 체계적인 업무 프로세스와 시스템 운영 관리로 안전성과 성능을 유지하여, 전반적인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리스크 감지, 관제, 대응까지 이어지는 통합 제 체계를 통해 중대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제조 환경 구현
통합관제 센터

고객 사업장의 안전, 환경, 에너지, 공정, 설비 등의 주요 정보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을 갖춘 통합 관제 센터를 구성하여, 이상 상황에 대한 인식 및 인지를 통해 즉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기종 시스템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관제 플랫폼을 통해 통합 관리하며, 전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위험이 인지되면 현장 상황을 자동으로 확인해서 빠른 의사결정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합니다.

Any Device - Easy to Connect

다양한 디바이스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의 통합은 기술적으로 복잡합니다.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경우 데이터 전송 방식과 메시지 형식, 연결 설정이 서로 달라 이를 표준화하고 쉽게 연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스마트 커넥트(Smart Connect)’ 어댑터를 통해 별도의 개발 없이 연결이 필요한 장비의 어댑터만 추가하면 쉽게 연결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DX 기반 운영관리 효율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분산된 데이터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하여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실시간 정보 제공을 통한 신속한 의사 결정을 지원합니다. 3D 관제 화면으로 직관적이고 현실적인 모니터링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알람 및 이벤트 발생 시 전자화된 행동 매뉴얼을 제공해 직관적이고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안전한 제조환경을 완성하는 LG CNS 솔루션
Factova SEP

αOP는 통합관제를 위한 통합 운영 플랫폼으로, 다양한 설비(Facility/Utility), 디바이스, 게이트웨이,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제어, 경보 처리, 이력 관리, 트렌드 분석, 통계 분석, 사용자 전파, 운영자 조치 처리 기능 등 통합관제 구성 및 운영을 위해 최적화 기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빌더를 이용하여 대시보드 화면 방식, 장비 계통도 방식, 테이블 방식,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맵 방식, 건축 도면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관제 화면 구성 제작이 가능합니다.

효율적인 운영 지원 기능으로, 이벤트 발생 인지부터, 이벤트 처리, 조치 가이드, 설비 현황 확인, 이력 관리 등 통합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이벤트 처리 시 필수적인 이벤트 처리 표준 운영 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를 이벤트 연관 설정만으로 직관적이고 빠르게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유형별 효율적 업무처리를 위해 전문 관제 요원용  스마트 뷰어 프로(Smart Viewer Pro), 일반 사용자용 웹 뷰어, 현장 패트롤 사용자를 위한 모바일 뷰어 등 업무 유형 별로 최적화된 뷰어를 제공합니다. 통합관제 운영은 24시간 365일 중단 없는 운영이 필수적이므로, 이에 맞춰 'Active-Standby', 'Active-Active' 방식의 서비스로 연속성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위험 요소 데이터 통합 및 관리,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인 대응 관리를 제공하는 Factova SEP(Safety & Environment Platform)와 함께 안전한 제조 환경 구성을 구성하세요.

Smart Connect

다양한 디바이스 어댑터를 지원하여 간단하게 이기종 연결 및 사용

e-SOP 구현

이상발생 상황 별 행동요령을 디지털화하여 체계적인 대응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n-Device' 지원

웹화면 및 모바일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 지원

FAQ
  • 통합관제 서비스를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업무 효율화와 실시간 대응 체계 구축입니다. 사업장 전반의 환경과 안전의 주요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통합 모니터링 구성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영상, 감시 센서, 재난 감지, 관리자 정보 등 이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위험 수준에 따라 평시, 주의, 관심, 심각 등 단계별 대응 화면과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분산된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하나의 통합 아키텍처로 일원화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상에 대해 즉각적으로 위험을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물리적으로 분리된 사업장의 경우 사업장별로 독립된 관제 센터 구축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관제 플랫폼은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관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통합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관제 센터의 데이터는 표준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며,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성으로 전체 사업장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환경에서도 중앙 집중형 통합관제 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최상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