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it에 대한 1395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2019 프랑크푸르트 모터쇼, 실내 공간이 중요해지는 자율주행차 세계 최대의 모터쇼인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는 주요 자동차사들의 미래 진화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요. 이번 2019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는 전기차 진화 전략과 더불어 실내 공간 사용성이 주요 이슈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스마트홈을 그대로 자율주행차로 옮겨 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주요 콘셉트카들의 공간 사용성 비전 제시, 사용자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진화, 관련 소프트웨어 진화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모터쇼에서 제시된 자율주행차의 실내 공간 사용성과 진화 방향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내 사용성을...
- 블로그 빅데이터를 활용한 ZARA의 애자일 공급망 ZARA는 프로모션을 거의 하지 않는 일관된 가격정책과 높은 브랜드 로열티로 잘 알려진 대표적인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브랜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ZARA의 핵심 성공 역량인 현장에서 고객에게 얻은 작은 디테일을 놓치지 않는 집요함과 수요 변화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애자일 공급망(Agile Supply Chain)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애자일 공급망의 필요성과 ZARA의 적용 사례 애자일은 우리 말로 번역하면 ‘민첩함’을 뜻하며 기업이 얼마나 신속하게, 낮은 비용과 높은 생산성을 유지한 채 시장...
- 블로그 Trillion Sensor 시대의 기업 경쟁 센서를 활용을 촉진 시키는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단일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가 활용하는 센서의 개수 및 범위는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 할 수 있는 수단은 터치, 문자 입력(Typing), 음성 인식 등으로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해 인간이 물리적으로 입력 불가능한 정보, 혹은 높은 정밀도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입력 정보의 한계로 인해 구현하기 힘들었던 기능 및 서비스를 가능하게 만들고 있으며, 서비스의...
- 블로그 4족 보행 로봇 기술의 진화 4족 보행 로봇의 원조는 지난 1965년 GE가 미군의 위탁을 받아 개발한 ‘워킹 트럭(Walking Truck)’입니다. 사람이 로봇 안에 들어가 조작하는 거대한 탑승형 로봇인데, 아래 이미지를 보면 60년대 기술이라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탁월한 기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로봇 몸체에 각종 배선이 치렁치렁 매달려 있지만 육중한 다리를 들어 나무들이 겹겹이 쌓여 있는 곳에 사뿐히 올라선 후 나무를 하나씩 발로 차면서 균형을 잡고 내려오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워킹 트럭은 진흙에 빠진 지프 트럭을 발로 밀어붙여 빼내는...
- 블로그 LG CNS Fun IT Quiz 8월 이벤트 당첨자 발표 LG CNS Fun IT Quiz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께 더 많은 도움드릴 수 있는 LG CNS 블로그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벤트에 당첨된 행운의 주인공을 발표합니다. 아래 성함과 휴대폰 번호 뒷자리 확인 부탁드립니다. 문제 1번 모나체인은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디지털 인증, 디지털 커뮤니티 화폐, 디지털 공급망 관리 등 3대 핵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정답: 모나체인 정답 보기 클릭 문제 2번 자체 공장이 없는 팹리스 업체는 반도체 개발 역량 외에도 최적의 비용으로 고객이 원하는...
- 블로그 수경재배는 왜 기술 용어가 되었을까? 수경재배(Hydroponics)는 ‘흙 대신 영양소가 용해된 물을 이용해서 식물을 생장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낯선 용어는 아니지만 선호되는 개념도 아니었습니다. 세부적인 재배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가 쉽지 않으며, 병원균 오염의 속도도 빠른 등 여러 단점이 경작에 비해서 큰 이점을 보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급격한 인구 증가와 농지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의 감소로 수경재배는 식량 확보를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이면 세계...
- 블로그 기업의 프로세스는 SCM과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수없이 많은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언제 잠에서 깨서 기상할지, 매일 무엇을 하고 시간을 보낼지, 식사는 언제 어디서 혼자? 아니면 누구와 무엇을 먹을지, 교통수단은 지하철, 버스, 택시, 자전거, 걸어서 무엇으로 할지 등등 어떻게 보면 기상하는 시점부터 잠자리에 들기까지 순간마다 의식적이든 습관적이든 의사결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사결정은 대부분 행동으로 연결되고, 행동은 결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의사결정을 할 시점에 기대했던 예상이 실제 결과와 차이가 크게 발생하기도 하고,...
- 블로그 간결하고 명확한 비즈니스 문서를 만들기 위한 스케치 노트 이번 글은 메모 노트만큼 자주 사용하는 스케치 노트라는 직무 노트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스케치 노트란 무엇인가? 필자는 ‘신사업 개발’이라는 업무를 맡고 있으며 ‘팀장’ 직책을 맡고 있다 보니 전체 업무 중 30% 정도는 비즈니스 문서를 만듭니다. 비즈니스 문서의 유형도 다양하죠. 고객사에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제안서나 상품 소개서, 연초 또는 연말에 조직 개편이 이뤄질 경우 사업보고서, 신사업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신사업 계획서, 그리고 외부 AI 콘퍼런스에서 발표할 강연 자료까지.. 매우 다양하면서도...
- 블로그 차량 공유 업계, 데이터를 공유하다 모빌리티(Mobility) 시장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사전적으로 ‘이동성’이란 뜻을 가지고 있지만 최근 IT 업계에선 우버, 리프트, 타다, 카카오택시처럼 교통 및 이동수단 관련 서비스 산업을 지칭할 때 이 단어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시장 이름을 따로 명명한 것은 그만큼 업계 파급력이 크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모빌리티 기업들의 인수합병 및 투자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1. 그런 와중에 해외 모빌리티 업계에선 요즘 ‘데이터’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 모빌리티 기업들은 데이터 공유에 소극적이었는데요. 2018년부터 주류 모빌리티 기업들이 대규모 용량의 데이터를...
- 블로그 범용 인공지능 시대, 인류는 디스토피아를 피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AI)은 항상 우리에게 논란의 대상입니다. 우리 앞에 닥친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열쇠가 될 수 있는 희망이면서, 동시에 지구를 파멸의 길로 이끌지도 모른다는 공포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미국 정보통신(IT) 업계에서 AI 비관론과 낙관론의 대척점에 서 있는 두 인물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미국 최대의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의 창업자 엘론 머스크와 페이스북 최고경영자 마크 저커버그입니다. 기술업계의 거물로 통하는 두 사람이 상반된 시각을 갖고 있다는 게 세상에 알려진 것은 2014년입니다. 당시 저커버그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 블로그 보안은 개발부터!! 데브섹옵스(DevSecOps) 2012년 말 가트너는 “DevOpsSec: Creating the Agile Triangle.”라는 문서를 통해 기존의 DevOps보다 발전된 새로운 DevSecOps라는 개념을 시장에 소개했습니다. 가트너에서는 이후에도 2016년 “DevSecOps: How to Seamlessly Integrate Security Into DevOps”, 2017년 “Gartner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18” 등의 문서로 DevSecOps의 중요성을 계속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트너는 DevSecOps를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라고 명명하고 2021년까지 Rapid Development Team 중 80%가 DevSecOps를 활용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실제로 DevSecOps를 시행한 조직은 인상적인 결과를...
- 블로그 누구나 알아야 할 회계 지식 ② 지난 ‘회계 지식 1’에서는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 그리고 재무회계에서 재무 상태 표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혹시, 지난 편을 읽지 않으신 분들이나 기억이 가물가물하신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습니다. 우선 재무회계는 투자자, 주주와 같은 외부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회계 기준이 존재해 모든 회사가 동일한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합니다. 재무 상태 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이 대표적입니다. 반면, 관리회계는 기업 경영을 목적으로 내부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개별 회사마다 기준을 가지고 관리를 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