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살펴본 ESG 공시와 규제 환경의 변화를 기억하시나요? 변화하는 공시 체계와 함께 본격 시행 예정인 규제들을 알아보며, 각 ESG 공시 체계가 생물다양성, 인적 자본, 인권과 관련해 새로운 아젠다와 지침을 업데이트하는 추세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ESG 공시 체계가 주목하고 있는 ‘생물다양성’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기업은 이를 어떻게 공시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SG 공시의 새로운 요소, ‘생물다양성’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형성하는 복잡한 생태계와 유전적인 다양성을 의미하며, 생물종(Species)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Ecosystem)의 다양성, 생물이 지닌 유전자(Gene)의 다양성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식량, 의약품, 에너지, 깨끗한 공기와 물 등 건강과 경제적 번영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생물다양성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으나, 경제 개발을 명목으로 자연을 훼손해 왔습니다. 그 결과, 현재 약 100만 종의 동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으며, 그 중 다수는 수십 년 내에 멸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식물의 멸종 속도가 지난 1,000만 년 동안의 평균보다 최소 수십에서 수 백배 빠른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자연 자본과 생물다양성이
전 세계 GDP(국내총생산)의 50% 이상을 책임지는 만큼 생태계의 붕괴는 기업 공급망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리스크가 기업의 가치나 신용도 평가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 공시에 대한 흐름이 급물살을 타면서, 이와 관련된 TNFD(Task 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 태스크포스)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생물다양성 관리와 공시를 위한 TNFD의 권고
TNFD는 2021년 세계 환경의 날을 계기로 출범한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입니다.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가 기후변화와 관련된 금융 정보 공개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TNFD는 자연 자본의 관점에서 자연 파괴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 영역과 목적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TNFD는 기업에게 자연 자본에 대한 위험을 평가하고 공시하는 방법에 대한 국제적 표준을 제공하며, 기업이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TNFD가 기업에게 제시하는 권고안은 ‘지배구조, 전략, 리스크 및 영향 관리, 지표 및 목표’라는 네가지 핵심 주제 아래 14개의 세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NFD 공시 대응을 위한 ‘LEAP 접근법’
TNFD가 제시하는 권고안에 LEAP 접근법을 활용하는 것은 공시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키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LEAP 접근법은 기업이 자연 자본의 의존도와 영향이 높은 지역을 파악하고(Locate), 자연 자본에 얼마나 의존하며 그 영향은 어느 수준인지 평가한 후(Evaluate), 자연 자본이 기업에 미치는 위험과 기회를 측정하고(Assess), 이에 대한 대응 및 공시를 준비하는(Prepare) 단계적 프로세스입니다.

이는 자사의 사업 및 밸류체인이 자연 자본과 어떠한 접점을 가지고 있는지, 얼마나 의존하는지, 그리고 리스크와 기회는 어떻게 되는지 상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절차를 통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절차들은 정기적인 공시를 통해 기업과 자원 자본 간의 영향, 리스크, 그리고 기회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LEAP 접근법의 키워드 별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Locate(접점 식별)자사의 사업 활동 및 밸류체인이 자연 자본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지 파악합니다. 여기에는 숲, 습지, 또는 높은 생물다양성 가치를 지닌 지역의 사업 활동을 매핑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사업 활동이 생물다양성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치(접점)를 가려냅니다.
Evaluate(의존도 및 영향 평가)Evaluate는 앞서 소개한 Locate를 바탕으로 자사의 비즈니스가 자연 자본에 미치는 영향과 자연 자본으로부터의 의존도를 구체화하는 단계입니다. 기업은 ENCORE, IBAT 등 자연 자본에 대한 의존도 및 영향 평가를 돕는 다양한 툴을 활용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TNFD는 다양한 시나리오 속에서 기업들이 자연 자본 의존도 및 영향 평가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툴을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TNFD에서 소개하는 Tool 보러 가기 :
https://tnfd.global/guidance/tools-catalogue/Assess(위험 및 기회 평가)Assess 단계에서는 Evaluate에서 도출한 자연 자본의 영향 및 의존성을 사업 활동에 직결되는 리스크와 기회 요인으로 구체화합니다. 기존 TCFD에서 요구하는 분류 체계와 마찬가지로 물리적 리스크, 전환 리스크, 체계적 리스크로 분류하며, 이를 기존 리스크 관리 체계와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들은 발생 가능성, 중대성, 기타 특화 기준에 따라 평가됩니다.
Prepare(대응 및 공시 준비)마지막으로 기업들은 자연 자본에 대한 위험과 기회를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준비해야 합니다. 이는 지배구조 정비,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한 관리 전략 수립, 목표 설정, 성과 측정 방법 등을 포함합니다. TNFD에서는 SBTN(Science Based Targets Network)의 SBTs for Nature를 활용하여 기업 활동이 자연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개선하기 위한 목표를 수립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ESG 경영의 New Trend, TNFD 공시 준비를 시작하세요
유종범 Consulting Manager
LG CNS Entrue Consulting 글로벌ESG파트너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 받는 저작물로 LG CNS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합니다.TNFD 권고안에 따른 자연 자본 공시의 준비는 기업의 환경 관련 재무적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관리·개선하기 위한 주춧돌이 될 수 있습니다. GRI, ESRS 등 기업의 비재무 성과 공시에 널리 활용되는 글로벌 보고 기준들은 TNFD의 권고안에 포함된 내용들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ISSB 또한 TNFD와 함께 향후 자연 자본 관련 공시 요건 고려를 위한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TNFD 권고안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자연 자본 관련 공시는 직접 사업과 밸류체인이 위치한 각 지역의 생태계 다양성을 측정할 때, 산업 특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필수입니다. 최근에는 14개의 산업별 자연 자본 보고 권고안이 추가로 공개되는 등 보고 방법론이 더욱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면밀한 관심과 준비가 요구되는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