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IT 상식에 대한 269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클라우드 전성시대! 보안을 위협하는 12가지 클라우드라는 용어가 생겨나고 우리 삶과 함께하는 것은 이미 오래전 일이 되었고, 이제는 하루도 빠짐없이 기사에 등장하는 그야말로 클라우드 전성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있고, 특히 Public 클라우드는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이 변해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보안입니다. 클라우드 도입 이전에는 기업 데이터의 유출 및 국가별 Compliance 준수 등을 고려해야 하고, 이후에는 클라우드를 노리는 수많은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인해 도입을 망설이게...
- 블로그 ‘초청장’ 파워포인트로 만들기 지난 편에서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개하는 브로슈어(Brochure)를 파워포인트를 이용해서 심플하게 만드는 법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런데, 글을 읽으신 분들께서 브로슈어를 작성할 때 ‘논리적 전개’나 ‘문장력’ 에 대해서도 걱정을 하셨지만, 그보다 앞서 ‘비주얼한 표현’ 즉, 디자인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없으시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저도 공감 가는 부분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회사의 브로슈어(Brochure)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디자인이 아니라 ‘내용(Contents)’입니다. 우리의 회사, 제품, 서비스를 얼마나 빠르고, 쉽게 다른 분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가 핵심입니다. 그러기...
- 블로그 전기를 아끼면 돈을 벌 수 있을까?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정부만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향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재 시리즈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구성 요소들과 기술, 적용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의 비즈니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를 아끼면 그만큼의 전력 요금을 절약할 수 있음은 상식적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요금을 절약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아낀 전기를 모으고 되팔아 추가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요자원 거래 또는 수요 반응(Demand Response)이라는 제도인데요. 수요...
- 블로그 빅데이터로 발전하는 뉴스 서비스의 모습 “뉴스 서비스의 발전을 위해 빅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될까요?” 뉴스의 진보를 위해 빅데이터가 어떻게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는지 하나하나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많은 뉴스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Juicer’ 과일이나 야채의 즙을 짜내는 기구를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영국의 공영방송 BBC에서 뉴스를 집계하거나 뉴스 콘텐츠를 추출해내는 API를 말하려는 겁니다. 그 API를 Juicer라고 부르거든요. BBC는 Juicer에 대해, ‘뉴스를 수집하고 집계하는 파이프라인(Pipeline)’으로 소개합니다. 현재 BBC Juicer는 영국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뉴스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약 850개의 RSS 피드를...
- 블로그 ‘하늘을 나는 택시’ 이동 혁명 일으킨다. 공상과학 영화에 나왔던 하늘을 나는 자동차 ‘에어 택시(Air Taxi)가 현실세계에 등장했습니다. 자동차 공유 업체인 우버는 도심 하늘을 날게 될 ‘플라잉 택시(Flying Taxi)‘를 공개했는데요. 이 택시는 2020년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데 이어 2028년 이전에 전면적인 상용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른바 대대적인 이동 혁명이 일어나게 됩니다. 어떤 성능을 갖췄을까? 플라잉 택시는 옥상이나 지상에서 수직으로 이•착륙하고, 1천~2천 피트(300~600m) 상공을 최고 시속 320㎞로 비행하게 됩니다. 겉모습은 드론과 비슷하며 4개의 날개에 프로펠러를 달아 소음을 줄이고, 전기를...
- 블로그 브로슈어(Brochure) 직접 만들기 제가 가끔 ‘전략적 사고’와 ‘효과적인 문서 작성’이라는 주제로 외부 강의를 할 때가 있는데요. 최근에 중소기업에 다니시는 분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제가 회사 소개 자료,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개하는 브로슈어(Brochure), 행사 초대장 및 스탠드 등을 전문 디자이너 도움 없이 파워포인트로 쉽게 만들 수 있다고 말하고, 제가 작업한 것들을 사례로 보여 드렸는데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 주셨습니다. 그래서, 언젠가 글을 통해 소개해 드려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바로 이번 편에서 소개하기로...
- 블로그 노동의 미래, 근력증강 로봇 미국 미시건주 웨인 카운티(Wayne County)에 위치한 포드자동차의 조립 생산라인에는 3,500명의 근로자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 1995년부터 이곳에서 일하고 있는 ‘폴 콜린스(Paul Collins)’씨는 작년 5월부터 캘리포니아주 리치먼드에 위치한 외골격 로봇 업체 ‘엑소 바이오닉스(Exo Bionics)’의 근력증강 로봇 ‘엑소베스트(Exovest)’를 착용하고 ‘하이라인(High Line)’에서 작업을 합니다. 하이라인에는 차체가 근로자의 머리 위에 놓여 있고, 근로자들은 차체 아래에서 무거운 도구를 들고 작업을 합니다. 근로자들을 위한 ‘근력증강 로봇’ 근로자들은 하루 평균 4,600회, 1년에 수백만 회에...
- 블로그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을까?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연산 과정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 과정, 사고방식과 비교하면 매우 비효율 적입니다. 인간은 대부분의 경우 직관과 일반화를 통해 상황을 판단하고 매우 빠르고 즉각적으로 결정하는데요. 그 답이 반드시 정답이 아닐지라도 근사치에 가까운 답을 빠르게 찾아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3.14 * 3.14의 값을 정확히 계산하지 않아도 3*3의 결과인 9 보다 크다는 것을 인간은 즉시 알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인간처럼 계산하고 사고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도 구현된다면 데이터와 컴퓨팅의...
- 블로그 인간처럼 생각하는 인공지능을 구현할 수 있을까?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연산 과정에 의해 구현되는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 과정, 사고방식과 비교하면 매우 비효율 적입니다. 인간은 대부분의 경우 직관과 일반화를 통해 상황을 판단하고 매우 빠르고 즉각적으로 결정하는데요. 그 답이 반드시 정답이 아닐지라도 근사치에 가까운 답을 빠르게 찾아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3.14 * 3.14의 값을 정확히 계산하지 않아도 3*3의 결과인 9 보다 크다는 것을 인간은 즉시 알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인간처럼 계산하고 사고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도 구현된다면 데이터와 컴퓨팅의...
- 블로그 스마트 팩토리 제조 혁신의 아이콘, FACTOVA LG CNS는 20년 넘게 제조 현장에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를 위한 정보화 경험을 축적해 왔습니다. 스마트 팩토리란 기존의 부분 또는 단순 공장자동화 수준을 넘어서서 공장 안의 모든 요소(4M/1E: Machine, Man, Material, Method, Environment)가 유기적으로 연결해서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공장을 말합니다. 사업 방식의 혁신을 위한 플랫폼을 추진하다. 동일 산업에서도 공장과 공정별, 그리고 도입 시점 등 설비에 따라 요구 사항이 많이 다른데요. 이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는 ‘고객 맞춤형’으로 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기업은 맞춤형 스마트 팩토리...
- 블로그 여권 위조, 블록체인으로 막을 수 있을까? 중세시대 유럽에서는 여행을 다닐 때 특별한 신분 증명 없이 자유롭게 여행을 다닐 수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처럼 공적 신분 증명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정치적인 분쟁 지역이나 성지 순례를 다닐 때는 지방에서 유명한 종교인 등 믿을 만한 사람의 소개장이 여행자의 안전과 신분을 증명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히스 레저’의 출세작 중 하나로 불리는 영화 ‘기사 윌리엄’에서는 가문을 소개하는 족보를 위조하여 신분을 속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망한 자신의 주인을 대신해 위조된 신분증을 가지고 기사들만이...
- 블로그 AR은 전자상거래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스마트폰 다음의 컴퓨팅 인터페이스가 되리라는 기대감은 최고조입니다.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페이스북 등 기업이 AR 전용 헤드셋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고, 많은 AR 콘텐츠가 스마트폰에서 작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AR 시스템이 등장한 건 20년 전이지만, 드디어 봉오리가 맺히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나 AR이 시장에 어떤 실질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오늘날 AR은 주로 스마트폰에서 작동합니다. 미래에는 AR 헤드셋을 착용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는 AR에 대한 기대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