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LG CNS에 대한 1297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MDD(Model Driven Development)의 유용성과 적용사례(2편) 지난 시간에 독자 여러분께 MDD 모델의 개념과 특징 및 개발방법론의 유용성 검토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MDD 국내외 사례 및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MDD 사례 분석 ① 국내외 사례 MDD로 구축된 국내외 사례들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전체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되기보다는 일부 핵심 모듈 위주의 사용이 많은 편입니다. 전북은행은 금융시스템에 Full MDD 방식을 적용하여 LG CNS에서 성공적으로 개발 구축한 첫 사례로 MDD의...
- 블로그 MDD(Model Driven Development)의 유용성과 적용사례(1편) 최근 주목받고 있는 MDD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MDD 관련 연구 내용을 2회에 걸쳐 독자 여러분께 소개드립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MDD(Model Driven Development, 모델 주도 개발) 의의 ① MDD의 개념과 특징 MDD는 모델 개발에 중점을 둔 개발방법론으로 모델을 이용하여 목표 시스템을 단순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시스템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개발자는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목적인 개발방법론입니다. 모델은 목표 개발물의 특징을 추출하여 단순화하는 표현 방식으로, 업무, 프로세스, 도메인(금융, 제조,...
- 블로그 물체의 방위 변화를 인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김용훈입니다.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면서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 때 시청 용도에 맞게 화면의 방향이 바뀌는 회전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기능에 어떤 기술이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능의 원리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구현되는 것인데요. 현재 출시되고 있는 작은 크기의 스마트폰 속에도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RGB 센서 등 많은 종류의 센서가 들어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 블로그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의 미래와 적용 영역의 확장 지난 시간까지 핀테크(Fintech)의 등장과 공유 경제 플랫폼의 성장, 그리고 블록체인(Blockchain)기술과 금융서비스 적용 사례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와 적용 영역의 확장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파생 기술의 등장과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 비트코인(Bitcoin)의 이중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된 블록체인 기술의 거래 투명성과 보안성 확보라는 분산 공공장부 특성은, 가상화폐 영역을 넘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을 목표로 비트코인 2.0 아래에 이더리움(Ethereum)1 등에 의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습니다. 특히, 암호화 기반 가상경제 구현을 위한...
- 블로그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과 금융서비스 적용 사례 지난 시간에는 핀테크의 등장과 공유경제 플랫폼의 성장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서비스에 적용된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2P 기반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 비트코인(Bitcoin)과 블록체인 사업적 성공 여부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지만, 공유경제 사업모델 기반기술 중 P2P기술을 활용한 가장 혁신적인 서비스 사례를 꼽으라면 단연 비트코인(Bitcion)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에 의해 발표된 한편의 논문(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으로 시작된 전자서명,...
- 블로그 핀테크의 등장과 공유경제 플랫폼의 성장 지난해 국내 금융권에서 가장 빈번히 회자된 용어 중 하나로 핀테크(FinTech)를 꼽는다면, 올해는 블록체인(BlockChain)을 주저하지 않고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처럼 화두가 되고 있는 핀테크의 등장 배경과 가치는 무엇일까요? 핀테크의 등장 배경과 핵심가치 핀테크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결합이라는 용어로 통칭됩니다. 핀테크 기업의 경우 IT시스템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금융기업을 통해 간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교적 중소규모의 기업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다양한 기술 중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로 집중되고, 대기업보다는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은데요....
- 블로그 차세대 IoT의 Thing 로봇! –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주목하라 요즘 로봇과 인공 지능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 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초에 있었던 구글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인간 대 컴퓨터의 세기의 대결 이후, 많은 언론을 통해서 인공 지능이 소개 되었는데요. 그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동영상이나 이미지에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과 로봇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고, 실제로 글로벌 IT 기업들은 두 분야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Google은 알파고를 개발한 AI 솔루션 개발 업체 구글 딥마이드와...
- 블로그 폼나는 새로운 배터리 ‘Foam 배터리’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성운제입니다. 우리는 활동을 하기 위해 식사를 합니다. 마찬가지로 전자제품, 혹은 근래에 화두가 되는 전기자동차 또한 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공급이 필요한데요. 전기가 필요한 장비들은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활동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습니다. 전기를 공급받는 장비들은 더 빨리, 더 많이 전기를 공급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배터리가 더 작게, 더 가볍게 만들어 지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 기술 중 하나인 ‘Foam 소재 배터리’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배터리의...
- 블로그 메이저리그와 함께 발전하는 데이터 분석 메이저리그(Major League) 관중들은 뉴욕 양키스의 투수 아롤디스 채프먼(Aroldis Chapman)이 마운드에서 던진 후, 전광판에 보이는 세 자리 숫자, 100MPH의 구속에 열광합니다. TV로 중계를 보는 팬들 또한 마찬가지인데요. 흔히 볼 수 없는 이 세 자리 숫자는 사람들을 메이저리그의 매력에 빠지게 만들고 있습니다. 100년이 넘는 메이저 리그의 역사 속에서 투수들은 더 빠른 공을 던지기 위해 노력을 해왔고, 팬들은 조금씩 빨라지다 이제 100MPH까지 온 투수들의 구속에 경외감마저 느끼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언제부터 야구 팬들이 투수들의...
- 블로그 데이터 홍수시대,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동시성 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박찬호입니다.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은 과거에 상상하지 못했던 산업들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2012년 아파치에서 발표한 분산처리시스템 하둡이나 최근 연구가 심화되고 있는 인공지능 사업 모두가 하드웨어의 발전에 따른 사례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발전은 이에 비해 더디게 진행되면서, 개발에 사용되었던 기존 언어들이 최신 인프라 구축 또는 빅데이터 처리에 있어 취약점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람들은 데이터 분산화를 해결하면서도 기기의 성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동시성...
- 블로그 LG CNS, 폴란드와 인연을 맺다 – 스마트그리드 AMI 사업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황선희입니다. 2014년 9월, LG CNS가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사업으로 폴란드와 인연을 맺었습니다. EU 가입국인 폴란드는 2020년까지 전체 가구의 80%에 스마트전력계량기(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는 ‘EU Mandate 2020’을 이행해야 하는데요. 이에 따라 LG CNS가 폴란드 최대 전력회사인 타우론전력(TAURON Dystrybucja S.A.)이 발주한 480억 원 규모의 AMI 공급과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하여 2017년 4월까지 구축완료를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나 AMI가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는 분들도...
- 블로그 차세대 신소재의 다크호스 ‘흑린(Black Phosphorus)’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김용훈입니다.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CES 2016(국제전자제품박람회)이 지난 1월 성황리에 개최되었는데요. 여러 제품 중에서 투명 디스플레이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인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가 많은 관심과 호응을 얻었습니다. 이와 함께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소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기존 물질을 대체할 차세대 전자소자인 ‘흑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은 ‘흑린(Black Phosphorus)’ 에 대한 첫 인상이 어떠신가요? 저는 검정색이라는 단어가 강하게 느껴져서 막연히 ’검정색으로 이뤄진 물질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