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찾고 싶은 것이 있나요?
it에 대한 1395개의 태그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블로그 정보보호 관련 인증 및 평가 제도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보안관련 인증•평가 제도 중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대표적인 제도가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인증제도입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국내에서 운영 중인 보안 관련 인증•평가 제도가 여러 개가 있고, 각 제도 별로 유사한 부분이 많아 혼란스러운 점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현재 운영 중인 대표적인 보안 관련 인증•평가 제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안관련 인증제도 현황 5~6년 전까지만 해도 보안과 관련된 인증제도를 준비한다면 ‘ISO 27001을 준비할까? 아니면 ISMS를 준비할까?’ 정도의 고민을 했는데요....
- 블로그 웹 브라우저, 필요한 용도에 맞게 사용하자!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조서원입니다. 벌써 2016년이 4분의 1이나 지나고, 따뜻한 계절이 성큼 우리 곁에 다가왔습니다. 학생들은 본격적인 학기를 시작하고, 직장인들은 많은 업무를 처리하느라 바쁘게 일상을 보내고 있는데요. 평소 학업이나 업무를 하는데 있어 자주 접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인터넷, 즉 웹 브라우저 접속일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사용 시, 업무 처리 속도나 작업 환경에 만족하시나요? 오늘은 매 학기 수강신청을 앞두고 조금이라도 빠른 방법을...
- 블로그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제조업과 만나다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임다은입니다. 최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이 단연 IT업계의 뜨거운 화두인데요.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기업들이 그 가능성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을 뿐만 아니라, 최근 개최되었던 IT업계의 축제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와 MWC(Mobile World Congress)에서도 화제의 중심이었습니다. ● 관련 글: 주목 받는 차세대 플랫폼, 가상현실 (http://blog.lgcns.com/1045) 현재 상용화된 가상현실 기기들은 대부분 게임, 영상 등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가상현실은 단순히 재미를 위한 도구를...
- 블로그 IoT 애프터 마켓, 사물에 생명을 불어 넣다.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집 조명을 켤 수 있고, 아파트에 자동차가 들어왔을 때 자동으로 집에 있는 오븐이 조리를 시작한다면 어떨까요? 인공지능이 탑재된 냉난방 장치가 실내 상황에 따라 집안의 온도를 맞춰주고, 세탁기에 부착된 버튼 하나로 세제를 주문할 수 있다면 정말 편리하겠죠? 이제 그러한 세상이 눈앞에 다가왔습니다. 바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덕분인데요. 이미 수많은 IoT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어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경쟁하고 있으며, 2016년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와 MWC(Mobile World Congress)에서도...
- 블로그 이제는 잠도 스마트하게, 슬립테크(Sleep Tech)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김보겸입니다. ‘처음에는 멋으로, 나중에는 맛으로, 결국은 살기 위해서 먹는 것. 그것은 바로 커피’라는 말이 있는데요. 이처럼 커피나 에너지 드링크에 의존하고 있는 피로한 현대인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잦은 스마트폰 사용이나, 과도한 카페인 섭취로 인해 수면 방해의 악순환이 계속되면서 점점 ‘잘’ 자는 것이 힘들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의 힘으로 숙면을 도와주는 장치들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잘 자기 위한 기술, 슬립테크(Sleep Tech)에 대해 소개해...
- 블로그 정보들이 서는 무대, 플랫폼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김상문입니다. 최근 생활에 유용한 맛집이나 쇼핑 정보를 한 번에 모아서 제공하는 앱을 사용해 보셨나요? 이처럼 소비자들에게 상품을 팔지 않고, 소비자들이 활동하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서비스들이 다방면에서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서비스를 플랫폼 서비스라고 합니다. 이처럼 최근 확대되고 있는 플랫폼 서비스가 IT분야에서 굉장히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IT분야에서의 플랫폼은 정보 교환의 주체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하며 발전하였는데요. 오늘은 플랫폼의 기본 정의와 IT분야에서의 플랫폼 발전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랫폼이란? 여러분은 ‘플랫폼’하면...
- 블로그 SRA와 함께라면 당신도 데이터 분석 전문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알파고가 탄생한 배경에는 빅데이터의 발전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빅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성능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의 발전까지 가세하여 오늘날 놀라운 수준의 인공지능 발전이 가능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LG CNS에는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SRA(Smart R Analytics)라는 데이터 분석 솔루션이 있습니다. SRA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R을 기반으로 한 분석 솔루션인데요. 오늘은 ‘LG CNS SRA’에 대해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려고...
- 블로그 애자일(Agile), IT 개발에 민첨함을 더하다. 최근에는 이른바 ‘화면 경제(screen economy)’라는 용어가 떠오르고 있는데요. 현대인에게 가장 가치 있는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의 화면에 의존하는 경제를 말합니다. 이에 따라 웹 포털을 참신하게 개발하고 관리해서 높은 수준의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포털은 대부분의 방문자가 여러분의 조직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처음 접하는 곳이고, 여러분의 조직을 둘러보기 위한 여행의 출발점이 되므로 매우 중요한 가상의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IT 개발자는 여러 콘텐츠와 다양한 기능을...
- 블로그 컴퓨팅의 미래를 보여준 더글러스 엥겔바트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 메모리 장치 등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본 구조가 급격히 발전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발전된 기술을 이용하고 활용하는 방법, 특히 인간과 컴퓨터 인터페이스 간의 협업 작업 및 공유의 개념은 상당히 뒤처져 있었죠. 더글러스 엥겔바트와 그가 이끈 스탠퍼드 연구소(Stanford Research Institute)의 소규모 연구팀은 끈질긴 연구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 여기는 컴퓨팅의 여러가지 측면에 대한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더글러스 칼 엥겔바트(Douglas Carl Engelbart)는 1925년 1월 30일에 미국 오리건...
- 블로그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을 통해 살펴본 인공지능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 한국의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인공지능 시스템 알파고(AlphaGo)가 함께한 세기의 바둑 대결은 4승 1패를 기록한 알파고의 승리로 막을 내렸습니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로 많은 주목을 받았던 이번 바둑 대결은 2016년 현재 인공지능 수준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 잘 보여준 의미 있는 이벤트였는데요. 물론 알파고는 바둑을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이므로 이번 승리가 바둑 이외의 분야까지 아우르는 ‘인공지능의 승리’라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풍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반응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이 굉장히...
- 블로그 비즈니스 모델링 이렇게 하면 된다 –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모델링 (3편) – 이번 시간에는 필자가 진행했던 ‘톡 주문’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링의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모델링 2편 (http://blog.lgcns.com/1034)’ 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어떤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는 대부분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 상황에 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모습 등에 대한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인데요. 반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자체에 대한 아이디어는 아주 드물죠. 필자의 경우 카카오톡으로 채팅 하듯 TV홈쇼핑 상품을 주문할 수 있는 ‘톡 주문’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상하여...
- 블로그 뭉쳐야 산다! 군집로봇 안녕하세요? LG CNS 대학생 기자단 석승연입니다. 1960년대의 만화영화 우주소년 아톰에서부터 최근의 월-E, 트랜스포머 등에 이르기까지 로봇은 언제나 인간의 상상 속에서 존재해왔고, 또 진화해 왔습니다. 그렇다면, 현실에서 로봇은 어디까지 진화했을까요? 보통 현실의 로봇이라고 하면 혼다에서 만든 ‘아시모’나 카이스트에서 만든 ‘휴보’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가장 먼저 떠올리실 텐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주인공 로봇은 아시모나 휴보보다는 훨씬 작지만, 여럿이 모여 커다란 힘을 발휘하는 ‘군집로봇’입니다. 군집로봇이란? ‘군집’이란 ‘일정한 지역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생물들의 모임’을 뜻하는데요....